앵커 : 북한 당국이 지난달 채택된 '평양문화어보호법'과 관련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할 정치사업대책안을 만들어 통제와 다양한 위반 행동에 따른 상이한 처벌을 강화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13일 “중앙에서 11일 전사회적으로 한국 말투와 외국(외래어로 된 언어) 말투를 없애고 우수한 문화어를 적극 살려 쓰기 위한 정치사업대책안을 만들어 내려 보냈다”면서“전사회적으로 한국 말투와 외래어를 뿌리뽑기 위한 사상전을 집중적으로 벌일 데 대해 지시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에서는 현재 주민들 속에서 한국 말투와 외국 말투를 쓰는 현상에 대해 전반적으로 요해하고 집중교양을 강화할 데 대해 지시했다”면서 “앞으로 한국 말투와 외국 글로 인쇄된 다른 나라 상품들이 들어오지 못하게 해당 기관들에서 이에 대한 엄격한 검열체계를 세우도록 지시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주민들 속에서 한국 말투와 외국 말투를 쓰는 것은 자기의 것을 귀중히 여길 줄 모르고 민족적 자존심도 없는 행위이며 적들의 사상문화적 침투책동을 도와주는 행위라는 것을 똑똑히 인식시킬 데 대해 지시했다”면서 “불의에 컴퓨터나 손전화기로 한국 말투나 외국 말투로 된 통보문(문자메세지)을 주고받는 현상이 없는가에 대해 집중 검열하고 있어 주민들이 긴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기관들에서는 주민들 속에서 한국 말투나 외국어를 망탕(마구잡이로) 쓰는 현상을 막기위한 사회적 분위기를 세우고 이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면서 “한국 말투를 쓰다가 단속된 대상들에 대해서는 정치조직 회의나 모임에서 집중비판을 진행하며 엄중한 대상들에 대해서는 대적 관념과 계급적 자각이 없는 심각한 사상적 문제로 보고 당적, 행정적, 법적으로 철저히 대책하도록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13일 “’평양문화어 보호법’이 채택된 이후로 한국영화나 음악을 비롯한 불순녹화물의 유포행위와 관련한 검열도 집중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면서 “해당 기관들에서는 불의에 기관이나 가정집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컴퓨터, 손전화 등)에 대한 검열도 한층 강화하고 있어 주민들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전 사회적으로 한국 말투와 외래어를 쓰는 현상을 막고 ‘평양말’을 적극 장려할 데 대한 중앙의 강압적인 지시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면서 “주민들속에서는 언어에 무슨 사상이 있는가 면서 숨도 제대로 쉴 수 없을 정도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는 당국의 태도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앞서 북한 당국은 지난달 최고인민회의에서 '평양문화어보호법'을 채택하고 한국식 말투와 호칭 확산 차단에 나섰습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19일 '평양문화어보호법' 채택 소식을 전하면서 "우리 언어 생활에서 비규범적인 언어 요소들을 배격하고 평양 문화어를 보호하며 적극 살려나가는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기자 이명철,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