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람이 고혈압이나 심장병, 당뇨, 암 등 만성질환이 있으면 삶의 질이 떨어지고 일찍 사망하게 되는 등 살면서 겪는 부담이 큽니다. 지난 30년간 한국은 이런 '질병 부담'을 50% 가까이 줄였지만, 북한은 14% 감소한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199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과 북한은 비전염성 질환, 즉 만성적인 질환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습니다.
30년이 지나며 한국에서는 이런 질병으로 인한 부담 지수가 49.5% 감소했지만, 북한은 13.7% 밖에 줄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14일 게재된 논문 ‘1990~2019 북한 질병 부담 추세(Trends and patterns of North Korea’s disease burden from 1990 to 2019)’는 만성적 질병으로 고생하는 북한 주민들의 상황을 보여줍니다.
한국 고려대 의대와 아주대 의대 연구진은 ‘GBD(Global Burden of Diseases)’라는 190여개 국가, 350여개 질병 부담 정보를 분석해 북한 보건체계가 주민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습니다.
고려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요한 교수는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주민들의 사망 뿐만 아니라 질병, 후유증, 장애를 포함한 포괄적 지수에 주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요한 교수 :사망이라는 것과 사망하지는 않았지만 장애라든지 삶의 질 저하라든지 유병까지 결합한 개념입니다. 사망의 부담, 유병상태의 부담까지 포함한 질병 부담의 지표입니다.
1990년 북한의 비전염성 질병으로 인한 부담 지수는 2만6227. 2019년에는 2만2644로 3583 줄어든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한국은 2만4003에서 1만3534로, 1만469나 떨어졌습니다.
이 지수를 보면, 지난 30년간 한국정부는 만성질환자에 대한 보건정책을 펼쳤고, 북한 정권은 만성질환 주민들을 방치하다시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이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성질환자에 대한 관리 부족은 주민들의 조기사망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 통계에서 북한 주민 평균 기대수명은 72.6세로, 83.3세인 한국보다 11년 정도 짧게 나타납니다.
이요한 교수 : 만성질환자들은 사망할 때까지 의료관리를 받아야하는데, 만성질환에 대한 의료적인 돌봄이 제공이 안되니까 오래 살아야할 사람이 조기에 사망하게 되고, 노인까지는 사는데 장수를 못하는 게 특징입니다. 북한이, 만성질환을 적절하게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이죠.
지난 30년간 북한이 효과적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나는 영역은 전염성, 산모, 신생아, 영양 관련 질환으로 인한 부담입니다.
이 지수는 1990년 1만1109였는데, 2019년 3443으로 69% 줄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같은 기간 한국은 3292에서 1217로, 58% 가까이 감소했습니다.
이 교수는 이 영역에서 북한이 높은 감소율을 보인 것은 국제사회의 지원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기자 심재훈,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