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중국에 장기체류 무역 주재원 전원 귀국 지시

0:00 / 0:00

앵커: 북한당국이 4년이상 중국에 장기 체류중인 외화벌이 무역 대표들을 모두 본국에 귀환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귀국명령을 받은 무역 주재원과 그 가족들은 갑작스런 귀국 지시에 크게 낙담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단둥의 한 무역관련 소식통은 “4년이상 중국에 체류하며 외화벌이 활동을 해 오던 북조선 무역 주재원들이 모두 지난 연말에 귀국명령을 받았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귀국 지시를 받은 무역 주재원들은 주재지역 관할 북조선 공관으로부터 1차 통보를 받았고 그 후 본국의 소속회사로부터 재차 귀국 명령을 받은 상태”라면서 “이들은 (음력)설 명절 하루 전날인 오는 24일까지 모두 귀국을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번에 소환령을 받은 무역 주재원들은 외화벌이 실적과 관계없이 4년이상 장기간 주재하던 무역대표들”이라면서 “작년 실적이 좋아 본국으로 송환되지 않을 것으로 마음을 놓고 있던 사람들이 이번 귀국 조치에 낙담과 함께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작년 외화벌이 실적이 좋은 무역 주재원들까지 귀국명령을 내린 이유는 오랫동안 해외에 나가 있으면 사상적인 무장이 돌이키지 못 할 만큼 흐트러지게 마련이라는 당의 우려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과거 김정일 시대에 무역주재원을 3년 이상 해외에 두지 않았던 방침으로 되돌아 가는 셈”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와 관련 선양의 한 무역관련 소식통은 “장기 체류하던 북조선 주재원들이 귀국한다는 소식이 외부로 전해지자 이들로부터 받아야 할 물품 대금이 있는 중국인들이 벌떼처럼 일어나 돈 갚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귀국하기 전에 돈을 갚을 여력이 없는 주재원들은 험한 봉변을 당하는 것은 물론 순조로운 귀국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북조선 무역 주재원들에게 자신의 이름으로 은행 카드를 만들어 준 중국인들도 긴장하기는 마찬 가지”라면서 “이들이 귀국하기 전에 자신의 이름으로 만들어 준 은행 카드를 회수하지 않으면 나중에 굉장히 시끄러운 문제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번에 장기간 체류하던 주재원들이 귀국하더라도 이들의 후임 주재원이 바로 파견되는 것은 아니고 2월16일 김정일 생일 행사가 끝난 후인 3월 초순경에나 본격적으로 후임 (무역) 주재원들이 중국에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