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당국이 중국 주재 외화벌이 일꾼에게 "남한 사람들을 만나면 회피하지 말고 유연하게 대응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이 주목됩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남한사람과 옷깃만 스쳐도 주변의 눈치를 살피게 되는 중국주재 북한 무역대표들이 최근 공관을 통해 뜻밖의 훈령을 받고 나서 훈령의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당국은 최근 중국주재 공관을 통해 "남조선 사람들을 만나게 되면 굳이 회피할 것은 없다. 대신 빨려 들지는 말고 유연하게 대응하라"는 훈령을 무역주재원들에게 내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같은 소식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한 중국 변경도시의 한 대북 무역상인은 "북조선 공관이 이 같은 훈령을 내린 것은 상거래 건수가 있으면 남한사람과도 적극적으로 임하라는 뜻"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중국에 주재하고 있는 무역 주재원들은 이미 암암리에 남한 사람들과 직간접적으로 상거래를 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면서 "이 같은 상황을 북조선 당국이 모르는 척 눈감아주고 있다가 아예 무역주재원들의 숨통을 틔워준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이와 관련 또 다른 중국의 대북무역 상인은 "중국업체의 물량을 받아 북조선에서 임가공을 하고 있는 봉제품의 절반 이상은 남조선에서 발주한 물량"이라며 "다만 중간에 중국 업체가 끼어있기 때문에 남이나 북에서 공히 문제를 삼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또 "이런 현실을 모를 리 없는 북한 당국이 북조선 주재원들에게 더 적극적으로 남조선업체의 상거래 건수를 수주하라는 의미"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이런 훈령을 받은 무역 주재원들은 극도로 몸을 사리면서 주변의 눈치를 살피고 있는 형편입니다.
소식통들은 "주재원들도 공관의 훈령이 무슨 뜻인지 짐작하지만 그렇다고 자신이 남조선 사람들과 접촉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공연히 밝히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비록 북한당국의 공식적인 훈령이 전달되었지만 과거 대남사업 부서에서 일했던 많은 간부들이 철직 또는 숙청된 사실을 잘 알고 있는 무역대표들은 당장에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소식통들의 한결 같은 전망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