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주민도 해외 북식당 외면

0:00 / 0:00

앵커: 중국 내 북한식당들이 심각한 영업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중국에 파견된 북한 주재원들과 북한 출장자들도 북한식당엔 가지 않는다는 소식입니다.

왜 그런지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외화벌이 사업의 하나로 꾸려진 중국 내 북한 식당들은 대개 한국인이나 중국의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는 선양과 단둥, 베이징 등에 많이 몰려있습니다.

이는 언어가 통하고 음식 또한 입맛에 맞기 때문에 고객 유치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일 것으로 분석되며 이들 지역에는 북한의 외화벌이 주재원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도 정작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북한 주재원들은 자국(북한)식당 출입을 꺼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무역 주재원들과 교류가 많은 중국 선양의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 무역 주재원들과 식사를 할 때 조국(북한) 식당에 가자고 하면 싫어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요즘 같이 영업이 잘 안 될 때 북한 식당을 가자고 하면 고마워 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렇지 않다는 얘깁니다.

소식통은 "이들이 자국(북한)의 식당 출입을 기피하는 이유는 자신들의 활동이 감시를 받고 있다는 것을 잘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같은 회사 소속 동료들에게 까지도 활동내용과 동선을 밝히지 않는 사람들이기에 자신들의 동선이 그대로 노출되는 북한식당 출입을 극도로 꺼린다는 것입니다.

중국 단둥의 또 다른 소식통도 "이들 주재원들은 본국에서 오는 손님들에 대한 식사접대를 할 때도 자국(북한) 식당에 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습니다.

식사접대를 하는 측이나 접대를 받는 쪽 모두가 북한식당에 가는 것은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얘깁니다.

북한식당 출입을 꺼리는 것은 주재원 가족은 물론 중국을 드나들며 보따리 장사를 하는 북한 화교들, 외화상점 지배인들 모두가 마찬가지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사정에 대해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툭하면 무슨 '전투'를 벌리기 좋아하는 북한 당국이 중국 내 북한식당 돕기 전투(운동) 같은 것을 벌리지 않는 이유가 궁금하다"며 북한 간부층의 행태를 비꼬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