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중 국경지역의 밀무역은 통상 중국 대방과 북한주민 간에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요즘 중국과 북한측에서 동시에 북한대방끼리 직접 밀수품을 보내고 받는 형태의 밀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압록강과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이뤄지는 북-중간의 이른바 '강밀수'에 중국인이 개입하지 않고 북한사람들끼리 밀수를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북한과 중국의 양측 대방이 모두 북한주민이라는 얘깁니다.
중국 변경지역의 한 소식통은 1일 "북조선측에서 이 같은 끼리끼리 밀무역을 시도하는 것은 중국측 대방(밀수업자)에 돌아가는 이윤까지 아껴 외화수입을 늘리기 위한 고육책으로 보인다"면서 "중국에서 활동하는 북조선 밀무역 담당자들은 2~3명이 한 조를 이루고 있으며 여기에 강무역에 밝은 중국인(조선족)을 필요에 따라 1~2명씩 고용하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고용된 조선족은 밀무역에 쓰일 선박의 수배와 물건을 옮길 인부의 동원 등 밀수 보조역할을 맡게된다"면서 "조선측 밀무역 요원들은 모두 중국어에 능통하며 중국 변경지역의 사정에도 밝은 사람들로 북조선 국가 무역회사에서 파견된 요원이 분명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국가 무역회사들이 그동안 밀무역을 하면서 중국 대방이 취하는 이윤도 몹시 아까웠던 모양"이라면서 "북조선 사람끼리의 밀무역은 많은 이윤을 남길 수는 있겠지만 자칫 단속에라도 걸리면 낭패를 볼 수 있는 위험한 밀무역 행태"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변경지역의 또 다른 소식통은 "북조선의 무역기관들이 이러한 끼리끼리 밀수를 새로 시도하게 된 것은 한정된 무역자원을 한 푼의 외화라도 더 받고 팔아야 한다는 절박한 사정 때문이 아니겠느냐"면서 "이러한 밀수 행태는 그동안 밀무역에 가담했던 중국측 대방의 반발을 불러올 것이 뻔하다"고 예상했습니다.
소식통은 "우선은 중국 대방의 이익까지 챙길 수 있어 유리해 보이지만 길게 보면 중국 대방들이 가만 있지는 않을 테고 결국 중국 당국의 개입으로 밀무역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북조선이 시도하고 있는 끼리끼리 밀무역은 북조선 물건을 중국에 밀수출 하는 경우보다는 중국의 공산품을 북조선으로 들여가는 비중이 훨씬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아직은 북조선에서 나오는 물건을 찾는 중국 대방이나 장사꾼들이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