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당국이 중국에 주재하는 무역일꾼들에게 내년1월 예정되어 있는 8차당대회를 위한 충성자금 과제를 부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단둥에서 북한과 오랫동안 무역을 해온 한 무역회사 관계자는 25일 “북조선 당국이 중국에서 활동하는 무역 주재원에게 내년 초에 있을 (8차) 당대회를 위한 충성자금 과제를 내리 먹였다”면서 “국경폐쇄로 인해 돈벌이를 거의 하지 못하고 있는 주재원들은 충성자금 과제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들이 수행해야 할 충성자금은 일률적으로 1인당 12,000 위안을 바치도록 하고 있다”면서 “본인뿐만 아니라 부인 몫까지 부담하도록 되어 있어 무역주재원 한 가구당 24,000 위안의 자금을 바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번 충성자금 과제는 이달(10월) 말까지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앞으로 일주일 정도 밖에 기간이 남아있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만약 무역 주재원이 이번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면 무역주재원이 소속된 회사가 대신 수행해야 한다는 지침도 함께 내려졌다”면서 “사정이 이렇기 때문에 이들이 소속된 회사들은 무역주재원에게 과제수행에 자신이 없으면 회사 망신시키지 말고 즉시 들어오라며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단둥의 또 다른 소식통은 북한 무역주재원 1인당 12,000위안이라는 과제 금액이 책정된 배경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지난 9월 북조선에서 발생한 태풍 및 큰물피해 복구를 위해 무역 주재원들이 모금행사를 벌였는데 당시에는 자율적으로 성의껏 내라는 지침에 따라 한 사람 당 최저 2,000위안부터 최고 12,000위안까지 다양한 금액이 모금되었다”
소식통은 “북조선 당국은 이를 근거로 성의만 있으면 12,000위안까지 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간주하고 이번에 내린 당대회 충성자금 과제를 12,000위안으로 책정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1인당 12,000 위안이라는 과제는 정상적으로 일이 되는 상황에서는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금액이지만 코로나로 국경이 봉쇄된 현 상황에서는 매우 부담스러운 금액”이라면서 “게다가 자신은 물론 부인 몫까지 두 배의 과제금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무역주재원들이 이번 과제를 이달 말까지 수행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단둥의 한 조선족 무역관련 소식통은 “북조선 당국의 말처럼 이번 과제수행을 제 때에 못한 주재원들을 당장 본국으로 송환 하기보다는 당대회가 내년 초에 열리기 때문에 과제수행 기간을 다소 연장해줄 가능성은 있다”면서 “코로나방역 때문에 중국에서 체포된 탈북자들을 송환하려 해도 북조선 당국이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형편을 감안하면 주재원들을 당장 소환할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예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이번 과제수행을 독려하며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있는 단둥 주재 북조선 영사부에서는 지난 토요일(24일)에 주재원을 모두 소집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늦게까지 회의를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면서 “이는 이번에 내려진 과제수행이 제반 형편 때문에 아주 부진하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