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당국이 주민들의 식생활을 개선한다며 국영공장마다 축산기지 운영을 의무화하도록 강제하고 있지만, 주민들 속에서는 현실에 맞지 않는 축산정책은 민생 악화만 가중하고 있다는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21일 “요즘 신의주 수산사업소에서는 이달 초 시작한 토끼축사 공사를 급하게 마무리하고 있다”면서 “물고기를 잡아야 할 수산사업소가 토끼축사 마련에 급해 맞은 것은 국영공장 기업소는 반드시 자체 축산기지를 운영하라는 당국의 지시가 내려왔기 때문이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당국의 지시에 따라 수산사업소 당 조직에서는 수백 여 마리의 토끼를 기를 수 있는 토끼축사를 완공하자마자 새끼토끼 확보에 나섰다”면서 “사업소 당 조직에서는 이달 말까지 사업소노동자 일인당 새끼토끼 한 마리씩 공장에 바치도록 포치하였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에 노동자들은 수백 마리 토끼를 사육한다며 토끼축사 공사비용을 노동자들에 부과하더니 새끼토끼 마련까지 노동자들 몫이냐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면서 “앞으로 새끼토끼 사료가 더 급한 문제인데 사료비용까지도 노동자 주머니를 털려고 계획하고 있는 게 당국의 조치냐며 강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당국이 현실에 맞지 않는 축산정책을 공장 기업소에 강제하다보니 강과 바다를 끼고 있는 수산사업소까지 토끼축산 운영에 나서고 있는데, 이는 오히려 주민부담은 부담대로 가중시키고 고기생산에도 전혀 실효성이 없는 무지막지한 정책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간부들 속에서도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같은 날 평안남도의 또 다른 주민 소식통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또 다시 중앙에서는 모든 공장 기업소는 돼지, 염소 등 축산기지를 자체로 꾸리고 운영하면서 공장 노동자들에 고기를 공급해 주민생활수준을 높이라는 방침을 지속적으로 강제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나 당국은 축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는 각 공장 기업소에 국가에 수매할 고기생산계획을 부과하고 계획수행 평가를 엄격히 하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공장마다 운영하는 축산기지에서는 노동자들에 고기공급은 고사하고 국가에 바쳐야 할 계획량을 맞추느라 노동자들에 축산비용만 부과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결국 당국이 민생을 운운하며 강제하고 있는 축산정책은 만성적인 경제난으로 인해 악화된 민생을 더 악화시키는 결과만 초래하고 있다”면서 “수십 년간 어린 학생들마저도 토끼 기르기를 의무적으로 강제하고 있는 당의 축산정책은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북한에서는 1970년대경부터 10대 초·고급중학교 학생들에게는 해마다 토끼 두 마리를 길러 그 토끼가죽을 바치도록 충성과제를 부과하고 있으며, 농민들에게는 연간 고기수매계획량을 의무적으로 할당하고 있습니다. 국가적 조치로 걷어 들인 고기는 인민군대 공급용으로 선전되고 있지만, 대부분 당국의 외화벌이에 이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