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양강도 대홍단군 당위원장이 철직 해임되어 해당 지역 농장원으로 강등되었다는 소식입니다. 대홍단군에서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비루스(바이러스) 감염병 사망자가 여럿 발생해 주민들이 동요하자 당국이 민심수습을 위해 방역책임을 당위원장에 전가한 것이라고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양강도 대홍단군의 한 주민 소식통은 10일 “요즘 대홍단군 군당위원장을 하던 큰 간부가 해임 철직되어 대홍단군 농장원으로 일하고 있다”면서 “군당위원장이 농장에서 혁명화노동을 시작한지는 한달 남짓 되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대홍단군 당위원장이 철직 해임된 이유는 지난 4월 대홍단군에서 코로나 의심환자 중 사망자가 늘어나 지역 주민들이 당국의 방역대책을 비난하며 동요하고 있다는 사실이 중앙에 보고되어 급하게 조치된 것이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실제로 지난 3월부터 대홍단군에서는 고열과 독감증세에 시달리는 주민들이 늘어나고 사망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어도 방역기관에서는 독감이나 폐렴으로 진단만 해주고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면서 “4월에 들어서며 해당 가족들이 연이어 폐렴증세로 사망하는 참사가 빚어졌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뒤늦게야 방역당국은 대홍단군 전지역을 소독작업하고 방역대책을 세운다고 부산을 떨고 있지만 주민들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냐’며 당국을 대놓고 비판하고 있다”면서 “이에 중앙에서는 방역 실패의 책임을 군당위원장에게 모두 전가하고 해임 철직시킴으로써 민심 달래기에 나섰다”고 주장했습니다.
같은 날 평안북도의 주민 소식통은 “지난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 사태로 평안북도에서도 코로나 의심환자로 사망자가 나타날 때마다 당국은 실질적인 방역대책보다는 관련 간부들을 출당 철직시키는 방법으로 당국의 방역 책임을 회피해 왔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지금도 당국의 코로나 방역사업의 본질은 전염병 위험에서 주민들을 살리자는 데 목적을 둔 것이 아니라 어떻게나 수뇌부가 자리잡은 평양시에 전염되지 않게 평양을 지켜내는 데 방역사업의 초점을 두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 때문에 코로나 전염병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는 어느 간부가 또 방역책임을 뒤집어쓰고 해임 철직될지 아무도 모른다”면서 “당국의 잘못된 처사에 일부 간부들은 코로나방역을 제대로 하려면 사람잡이로 대처할 것이 아니라 인민의 생명을 살린다는 입장으로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손혜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