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당국이 중국에서 일하고 있는 외화벌이 노동자 1만명을 교체 투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일자리를 잃었던 북한 노동자들이 대부분 중국기업의 요구에 따라 직장에 복귀하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관련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료녕성 단둥시의 한 조선족 소식통은 20일 “요즘 단동지역에 파견된 북조선 노동자들이 곧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북조선노동자들을 고용하고 있는 한 회사의 지인을 통해 노동자들이 일부 교체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북조선당국의 이번 노동자 교체는 코로나사태로 장기간 철수하지 못하고 대기 중이던 노력 중에서 1만여 명을 선별해 진행한다”면서 “철수대상은 대개 북조선에 가정이 있는 40대 이상 여성노동자와 연로보장(퇴직)의 나이에 이른 노동자들로 알려졌다”고 증언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철수명단에 오른 노동자들은 2019년 말에 이미 3년간의 비자기간이 끝나 귀국을 앞둔 상태였다”면서 “하지만 갑작스런 코로나사태로 그들은 중국 현지에서 마땅한 일거리도 찾지 못한 채 다양한 업종에서 막일을 해가며 지금까지 발이 묶여 있었던 노동자들”이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그동안 북조선 노동자를 고용한 일부 회사에서는 여러 가지로 제기되는 문제로 노동자들의 교체를 원했지만 국경이 닫힌 탓에 교체가 미뤄져 왔다”면서 “하지만 이달 초 베이징 주재 북조선 대사관으로부터 1만 명의 철수명단 작성을 지시받은 북조선 인력고용회사들이 철수 노동자 명단을 작성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일부 철수대상 노동자들 중에는 5년이상 가족과 떨어져 일한 사람도 있고 이미 연로보장(은퇴) 나이마저 지난 사람도 있다”면서 “이들 북조선 노동자들은 중국 회사가 계약에 따라 지불한 노동자 한 명당 월 2천위안의 임금 중에서 불과 300위안의 실질임금을 받았는데 이마저도 회사(북한측)가 장부에만 기록해 놓고 귀국 시 한꺼번에 지불하기로 약속했으나 과연 북조선당국이 임금을 제대로 지급할지 눈여겨볼 대목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임금에서 80%이상을 차지하는 충성자금을 빼면 노동자 1인당 월 실질임금은 300위안인데, 3년간 일한 노동자가 귀국 시 일시불로 받는다면 1만800위안이고 이번에 귀국할 1만명을 함께 계산하면 총 1억800만 위안입니다. 미화 약 1,670만 달러에 해당하는 거액입니다.
이와 관련 중국 단둥시의 또 다른 현지소식통은 21일 “요즘 동강과 단동일대에 파견된 북조선 근로자들이 상당수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북조선의 지인으로부터 당국이 교체를 위해 젊은이들로 1만 명 규모의 신규노력을 선발하고 교체준비를 마쳤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달 초 베이징의 북조선 대사관으로부터 철수 노동자 명단을 작성하라는 지시가 각 인력회사에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철수 명단에 오른 북조선 노동자들은 조만간 단동세관을 통해 귀국할 예정인데 국경이 막혔다는 이유로 북조선에 있는 가족의 안부조차 알 수 없는 단절된 상황에 처해 있던 북조선 노동자들은 이번 귀국조치를 반기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1만 명에 달하는 북조선 노동자들이 기차나 버스, 혹은 도보로 국경을 넘어갈지 아직은 알려진 게 없다”면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와중에도 여전히 중국 단동과 동강일대에서 외화벌이를 하고 있는 수만 명의 북조선 노동자들 중 1만 명이 교체되는 만큼 이들의 북조선 출입국 모습 또한 큰 관심거리가 되고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번에 중국에서 철수하는 노동자들은 이미 중국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상태로 코로나 음성 진단을 받고 북한으로 귀국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소식통은 동강을 포함한 단둥 지역에 약 3만 명의 북한 노동자가 있다면서 의류나 전자제품 공장, 악세사리, 방역제품 공장, 또 수산물가공 공장과 온실 등에서 일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