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당국이 주민들에게 식량난의 장기화에 대비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코로나 비상방역기간을 최소 3년으로 예상하고 그 기간에는 각 기관 기업소 단위 별로 자체로 식량문제를 해결하라는 방침을 내려 주민들이 불만에 차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2일 “이달 초 장기적인 식량난에 대비할 데 대한 중앙의 방침이 일제히 하달되었다”면서 “도내의 각급 기관, 기업소, 단위들에 식량문제를 자체로 해결하라는 지시문이 전달되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중앙당이 도당위원회를 거쳐 하달한 이번 지시에는 코로나비상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조건에서 식량문제의 절박성이 강조되었다”면서 “이제부터는 기관이나 공장, 기업소 노동자들도 협동농장에 나가 공장 기업소 별로 배분된 포전에서 농사를 지어 식량문제를 해결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당에서 코로나비상사태가 3년 이상 갈 것으로 전망하고 식량문제의 장기전을 예고한 것이 심상치 않다”면서 “향후 코로나사태가 3년넘게 지속된다 해도 주민들이 스스로 알아서 식량을 해결하라는 것은 하루하루를 힘들게 버티고 있는 주민들에게는 너무 가혹한 요구”라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당국에서는 원래 공장, 기업소들에 자체로 배추, 무와 같은 부식물을 해결할 수 있게 부업포전을 배분해왔는데 올해에는 부업포전을 확대 배분했다”면서 “주민들은 농사포전면적을 조금 늘여주고는 식량문제를 자체로 해결하라는 것은 당국이 식량문제 해결을 주민들에게 떠 넘기는 무책임한 행태라며 비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국가에서 공장 기업소들에 자체로 식량문제를 해결할 것을 지시한 것은 중앙에서 더는 민생을 돌보지 않겠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면서 “공장 노동자들마저 식량생산에 뛰어들게 하는 당국의 처사에 주민들은 조선의 식량문제는 해결될 가능성이 없다며 절망감에 빠져 있다”고 증언했습니다.
소식통은 원래 부업밭과 새로 받은 밭을 합한다고 해도 필요 식량의 30%도 해결하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4일 “청진시안의 각급 기관 기업소, 단위들에 향후 3년간 자체로 식량을 해결하라는 중앙의 방침이 하달되었다”면서 “이에 공장 노동자들은 호미 자루를 쥐고 밭으로 출근하는 신세가 되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요즘 청진시는 부업포전 농사동원으로 인해 모든 공장 노동자들이 농사일에 매달리고 있다”면서 “이른 새벽부터 오후 늦은 시간까지 각 공장 기업소의 노동자들은 배분된 농장 밭에서 김매기전투를 벌이느라 눈코 뜰 새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당에서 코로나시국의 엄중성과 장기화를 강조하며 자체로 식량문제를 해결하라고 지시하자 주민들은 지금의 식량부족사태속에서 3일도 버티기 힘든데 3년을 견디라는 것은 마치 사형선고를 내리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면서 “최고 존엄이 쌀은 곧 국가의 자존과 자립을 견지하는 요소라고 강조했지만 배부른 지도자와 고위층이 주민들의 굶주린 사정을 얼마나 헤아릴 수 있겠느냐”고 질타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코로나사태의 장기화로 인해 국경봉쇄가 지속되면서 우리(북한)경제는 완전히 마비되고 인민생활은 바닥을 치고 있다”면서 “주민들은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인민들이 굶어 죽어야 중앙에서 정신을 차리겠냐”면서 당국을 원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