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최근 북한당국이 코로나 비상방역 사업을 강화할데 대한 지침을 연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주민들은 대규모 시민 행사를 계속 진행하면서 비상방역을 강조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정책이라며 냉랭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박정연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 청진시 포항구역의 한 주민 소식통은 19일 “마스크도 쓰지 않은 대규모 군중 행사를 진행하면서 방역사업을 강조하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는 일”이라며 주민들은 당국의 비상방역지침을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 방송에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최근 당국이 세계적인 보건위기가 종식될 때까지 비상방역 사업을 계속 강화할데 대한 지침을 각 기관 기업소 및 인민반들에 연일 포치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지침은 함경북도 청진시 뿐만 아니라 전국으로 일제히 전파되고 있다”며 “국가에서는 비상방역사업의 고삐를 계속 바싹 조여야 한다는 최고 존엄의 지침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차 전원회의에서 제시된 올해의 가장 중요한 과업 중 1순위가 비상방역사업의 완벽성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계속 상기시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또 “파국적인 대재앙을 몰아 온 악성 전염병의 2차 파동에 이어 영국과 남아프리카 등지에서 새로 발생한 변종 바이러스가 세계각지로 전파된다는 것도 주민회의를 통해 알게 되었다”면서 “악성 전염병의 3차 파동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는 소식을 들을 때에는 수많은 주민들이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국가는 주민들에게 오늘날 조선의 비상방역전이 단순한 실무적 문제가 아니라 나라와 인민의 안녕을 지키는 조국보위전, 인민보위전이라고 주장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 회령시의 한 주민소식통도 이 날 “최근 대규모 평양시민들이 참가한 9.9절(북한 정권수립 기념열병식)열병식만 보더라도 당국의 코로나 비상 방역정책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회령시는 최근 계속 확대되고 있는 세계적인 보건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 기관 기업소는 물론 인민반들까지 비상방역투쟁에 적극 동참시키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사람들이 많이 모인 장소에서 담배를 피우는 현상, 공공장소에서 손전화를 하는 현상까지 비판 대상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소식통은 “얼마 전 회령시의 한 기업소에서는 여성 노동자 한 명이 2분 남짓한 쉬는 시간에 마스크를 턱에 걸었다가 비판 무대에 서는 일이 있었다”면서 “그녀는 해당 기업소로부터 방역사업에 대한 자만과 방심, 안일해이와 완만성을 가진 방역대전의 주적이라는 악평을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코로나 비상방역 사업에서는 천 번 중 단 한 번의 실수도 용납될 수 없으며 순간의 방심이 방역장벽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것이 국가의 지침”이라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국가는 또 방역사업에는 시정이 필요 없으며 마음의 탕개를 늦추는 순간 나라와 인민의 생명은 불 보듯 뻔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한다”면서 “이에 주민들은 국가가 인민의 생명안전을 지키기 위해 현시국에 수 많은 평양시민들과 청년들을 열병식과 무도회로 끌어낸 것이냐며 당국의 비상방역정책을 두고 매우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박정연, 에디터 박정우, 웹팀 최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