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항구에서 안전검사를 받은 북한 선박 13척이 모두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선박을 관리·감시하는 기구인 아시아태평양지역 항만국통제위원회(Tokyo MOU)가 최근 발표한 연례 보고서.
이에 따르면 지난해 아태 지역 내 항구에서 안전검사를 받은 북한 선박은 총 13척으로 모두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검사를 받은 북한 선박들에서 예외 없이 결함이 발견되기는 올해가 연속 5년째입니다.
위원회는 이 가운데 2척에 대해서는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선박 운항을 중단하도록 하는 ‘정선 조치’를 내렸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선박에서 화재 안전과 구조 장비, 비상 시스템 미비 등의 결함이 발견되면 정선 조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위원회는 또 토고, 몽골, 자메이카 등 6개 국가들과 함께 북한을 블랙리스트, 즉 요주의 명단에 올려 앞으로 북한 선박들이 평균보다 더 높은 비율로 안전검사를 받도록 했습니다.
안전검사를 받은 북한 선박의 수는 2016년 275척, 2017년 185척, 2018년 79척, 2019년 51척으로 감소해 대북제재 그리고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감염증 사태 등의 영향으로 선박 운항이 지속적으로 줄어들었음을 시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신형 코로나 백신(왁찐) 공동구매 국제프로젝트인 코백스 측에 백신 공급을 요청하고도 자국 내 모니터링, 즉 백신 분배감시 활동을 수용하기를 주저하고 있어 대북 백신 공급 시기가 불분명한 상황이라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일본의 교도통신은 이날 복수의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은 5월 말 약 170만회 분의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공급받기로 되어있었지만 북한이 코백스의 지도에 따르기를 꺼려하면서 이러한 계획이 미뤄졌다고 전했습니다.
코백스 측은 백신을 공여받는 국가들에게 백신 분배감시 인원들을 들여보낼 것을 요구해왔지만 북한은 국경을 봉쇄하고 해외에 있는 북한 주민들 마저 들여보내고 있지 않다는 설명입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또 백신 접종 홍보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분배감시 없이 백신을 제공받을 수 있기를 기다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전문가들은 북한이 정치적 충성도에 따라 주민들을 계급화한 성분 제도를 기반으로 차별적인 백신 접종을 진행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해왔습니다.
로베르타 코언 전 미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 (지난 4월 13일 세미나): 북한에선 약 200만회 분의 신형 코로나 백신 조달 과정에서 심각한 인권 침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유엔사무총장은 북한 같이 공공 분배 시스템이 차별적인 곳에서는 이에 의존해선 안된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Right now, a serious violation may be in the making with the arrival of two million doses of AstraZeneca vaccine. The UN Secretary General has warned against relying on North Korea’s public distribution system because it is discriminatory in nature.)
앞서 세계백신면역연합(GAVI·가비)은 지난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코백스를 통한 북한 내 백신 도입은 올해 하반기 중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기술적 준비 상황과 세계적인 공급 부족 사태 등으로 도입이 미뤄졌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