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통일부가 북한의 올해 호우 상황이 최악의 홍수 피해를 겪었던 지난 2007년 때보다 심각하다며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여상기 한국 통일부 대변인은 10일 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최악의 홍수 피해를 겪었던 지난 2007년보다 올해 8월 더 많은 양의 비가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2007년 당시 북한 지역에서 약 7일 간 최대 700mm의 비가 내렸는데 이번 달 1일부터 6일까지 강원도 평강군에 내린 비는 854mm에 달했다는 겁니다.
또 같은 기간 개성 지역은 8월 평균 강우량의 약 1.5배에 해당하는 비를 맞았다며 북한이 호우로 인해 상당한 피해를 입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여상기 한국 통일부 대변인 : 이번에 같은 기간 8월 1일부터 6일 사이에 내린 개성 지역의 강우량이 423.9mm로 8월 평균 강우량의 약 154%에 해당해서, 아마 북한 전 지역이 홍수로 인한 피해도 있었고 또 물 관리에 따른 애로가 컸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상기 대변인은 이날 북한 매체가 연일 수해 방지 보도를 내고 있고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집권 후 처음으로 수해 상황 직후에 현장을 방문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올해 북한의 홍수 피해가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북측의 구체적인 피해 현황을 파악한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황강댐 방류에 대해서는 댐의 구조 상 물이 일정하게 찰 경우 댐이 붕괴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물을 방류해야 할 상황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방류 전 한국에 통보를 해주면 임진강 지역 주민들의 안전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홍수 피해 관련 지원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남북 간 인도적 협력은 정치∙군사적 상황과 관련 없이 추진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여건이 되면 다각적으로 검토해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기상청은 황해도와 평안남도, 함경남도 남부에서 10일과 11일 이틀간 최대 120mm 이상의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최근 가장 비가 많이 내린 강원도 평강군의 경우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강우량이 연평균 강우량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같은 기간 개성에도 8월 평균 강우량의 2배 가량의 폭우가 쏟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지난 6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황해북도 은파군의 수해 현장을 찾기도 했습니다. 북한의 대표적 양곡 생산지인 황해도에서는 이번 폭우로 살림집 730여동이 침수되고 179동이 붕괴됐습니다. 또 여의도 2배 너비인 논 600여 정보가 침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당국은 아직 황해도 외의 피해 상황은 공개하지 않고 있어 정확한 피해 현황 파악은 어려운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