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주민들에 재활용품 수거 강제 할당

0:00 / 0:00

앵커: 북한이 현 경제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을 모아 바치도록 주민들에게 강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모든 주민들에게 재활용품 과제를 할당하고 과제 수행을 독촉하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21일 ”중앙에서는 현재의 원자재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폐품의 재자원화사업 밖에 방법이 없다는 전제 아래 ‘재자원화’에 관한 규칙을 신설하는 등 자원 재사용 사업에 사활을 걸고 나섰다”면서 “관련 기관, 기업소, 학교, 인민반들에 재자원 물품(폐품) 수집 과제를 부여하고 무조건 수행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에서는 폐자원의 재사용을 적극 권장하면서 관련 선전물을 제작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주요거점들에 게시하고 있다”면서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외국기업들의 사례를 선전 매체와 선전 자료를 통해 적극적으로 소개하면서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재자원화사업과 관련해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않는 공장기업소나 가정 세대들은 수시로 검열을 벌여 사상총화를 하겠다고 벼르고 있어 주민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폐자원 수집에 나서고 있다”면서 “폐지나 폐비닐, 유리를 비롯해 폐기된 물건 중에서 쓸 만한 물건은 모조리 재활용품으로 수거해 바치도록 하면서 심지어는 신다 버린 신발 밑창이나 다 쓴 치약용기까지도 수거해 재활용하여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재자원화 사업에 따라 기관, 기업소, 학교는 물론 매 가정 세대들에는 한 주에 일인당 5kg의 재활용품을 바칠 데 대한 과제가 부여되었다”면서 “주민들은 과제수행을 위해 쓰레기장까지 샅샅이 훑고 있지만 요즘에는 쓰레기장에서도 쓸만한 재활용품은 찾기가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같은 날 ”기관들에서는 소속성원들이 모이는 기회마다 폐자원의 재자원화는 쓰레기를 보물로 만들고 살림살이를 더욱 윤택하게 만드는 길이라고 선전하고 있다”면서” 폐지 같은 것도 1톤만 모으면 1만개의 학습장을 만들고 종이를 만들 때 필요한 자재를 절약할 수 있다고 선전하지만 과연 재자원화가 얼마나 실리가 있는지 주민들은 의심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올해 연초부터 8차당대회를 비롯해 중앙에서 큰 회의들을 조직해 놓고 현재의 경제적 난관에서 벗어날 수 있는 획기적 대책을 세운다는 것이 고작 재활용품 수집이냐며 주민들은 당국에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면서 ”요즘엔 주민들이 프라스틱 병이나 유리병 등 쓸만한 물건은 아예 내놓지를 않는데 무슨 수로 재활용품을 모아서 경제적 안정을 찾겠느나면서 주민들은 당국의 대책을 비웃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북한당국은 대북제재가 한창이던 지난 2017년 3월 극심한 자재난을 극복해야 한다면서 새 학기를 앞둔 학생들과 주민들을 동원해 유휴자재(재활용품) 수집 깜빠니야를 벌인 바 있습니다 그 당시에도 고철이나 파고무, 파지와 헌옷가지 등을 재사용 자재로 지정하고 초급중학생들부터 모든 주민들에게 재활용품을 수거해 바치도록 강제했습니다.

당시 북한당국은 초급중학교 학생들은 고철 10kg, 고급중학교 학생들은 고철 15kg을 개학과 함께 수매소에 바치도록 강제했는데 고철을 수집하지 못한 학생들은 초급중학교 학생은 북한 돈 70원, 고급중학생은 북한 돈 105원을 현금으로 바쳐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