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주민, 북중무역 정상화 안 돼 생계난

0:00 / 0:00

앵커: 당초 6월초로 예상되었던 북-중무역 정상화가 여지껏 이뤄지지 않고 있어 북한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주민들의 생계는 나날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한 소식통은 28일 ”지난 5월초 부터 조금씩 나아지는 기미를 보이던 중국과의 무역이 요즘들어 다시 중단 상태에 직면했다”면서 ”이달(6월) 초까지만해도 비록 규모는 작아도 중국에서 무역차들이 국경을 넘어왔는데 요즘에는 크게 줄어들어 무역화물차 구경하기 힘들게 되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지난 5월하순 중국의 신형코로나 사태가 소강국면을 보이면서 우리 무역회사들은 당국으로 부터 조-중 무역이 곧 정상화될 것이니 이에 대비하라는 내부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중국의 코로나전염병이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특히 조선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동북 3성(랴오닝,지린,헤이룽장성 등)에서의 코로나전염병이 재확산 조짐을 보임으로써 무역정상화 조치는 물건너 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무역정상화 조치가 미뤄진 또 하나의 원인은 우리 내부에서의 신형코로나전염병이 심상치 않은 상황으로 번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면서 “당국에서는 우리나라에는 코로나 감염환자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국내 곳곳에서 신형코로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망자도 많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 같은 상황에서 그동안 소규모로 진행되던 조-중간에 긴급물자 무역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라면서 “양국 세관과 방역당국이 코로나방역을 위해 워낙 복잡한 무역및 통관절차를 요구하다 보니 업무의 폭증은 물론 정상적인 무역에 비해 최고 10배에 달하는 경비를 부담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 나선시의 한 무역관련 소식통은 “중국에서 무역차들이 일단 세관을 넘어오면 화물에 대한 소독작업부터 실시하고 중국인 기사들은 화물차를 몰고 우리 나라 내부로 들어갈 수 없으며 국경지역에서 차를 조선 운전기사들에게 넘겨줘야 한다”면서 “조선 운전수들이 목적지까지 가서 물품을 하차한 다음 다시 국경지역에 돌아오면 우리 세관에 딸린 격리시설에서 대기하고 있던 중국기사들이 빈 차를 넘겨받아 중국에 돌아가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런데 중국인 기사들은 우리나라에 왔다 갔다는 이유로 중국세관에서 다시 15일간 의무 격리기간을 거쳐야 한다”면서 ”이런 상황은 운전기사의 생계에도 지장을 주고 무역회사측에서는 무역 규모가 적어 이윤이 적은데다 운전기사 비용까지 감당하다 보면 무역거래를 할수록 오히려 손해만 입는 셈이 되기 때문에 중국 대방들이 우리와의 무역을 회피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나선시의 무역회사와 주민들은 6월초 조-중무역 재개 소식에 큰 기대를 걸었으나 무역정상화는 고사하고 그나마 소규모로 진행되던 전략물자와 긴급물자 거래도 거의 멈춰서버렸다”면서 “우리측 무역회사들은 중국측에 소규모 무역이라도 계속 할 것을 요청하고 있으나 중국 기업들은 코로나사태로 인해 하면 할수록 손해를 보는 무역거래를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중국측 대방들 뿐 아니라 우리나라 무역기관들도 코로나 사태가 오래 지속되다보니 무역재개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무역중단이 오래 지속되면서 장마당 물가는 날이 갈수록 오르면서 주민들은 생계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되고 하루하루를 살아남기 위한 생존투쟁으로 보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