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김정은 정권이 젊은층의 체제에 대한 저항의지를 꺾기 위해 대규모 건설장에 투입하고 있다는 주장이 북한 내부로부터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군인들과 젊은이들을 건설장에 투입하면 체제불만을 쉽게 진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새해 '신년사'에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원산갈마해양관광지구 건설과 삼지연군 꾸리기, 단천발전소 건설, 황해남도 2단계 물길공사를 다그치며 살림집 건설에 계속 힘을 넣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1월 28일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삼지연 건설을 위해 조직된 '216사단'의 인력은 최근 인원이 줄기는 했지만 아직도 10만 명이 넘고 있다"며 "여기에 원산시 건설에 군인들과 돌격대 20여만 명이 동원되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갈마해양관강지구 건설에는 9군단과 7군단, 3군단과 1군단의 보병 17만명, 강원도에서 2만 여명, 서해 간석지 건설사업소의 인력 3만 여명과 철도성의 인력 1만 여명 등 대규모 인원이 현재 동원되었거나 3월말까지 동원되게 된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2016년부터 시작된 단천발전소 건설에도 군인들과 돌격대원들, 현지 주민들 20여만 명이 동원됐다"며 "황해남도 2단계 물길공사를 위해 농휴기인 2월 초부터 3월 말까지 35세 이하의 농민들은 모두 동원되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26일 자강도의 한 소식통은 "올해 각 도소재지들에 아파트 10동 이상씩 건설하라는 중앙의 지시가 내려오면서 방학을 받았던 지방대학 학생들까지 모두 불러들이고 있다"며 "노동단련대에 수감된 사람들도 건설에 동원됐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에서 이렇게 군인들은 물론 사회생활을 하는 젊은이들을 모두 끌어다 집단생활을 시키면서 각종 건설에 동원하게 된 중요한 원인이 있다"며 "그 원인은 인민들 속에서 날로 높아지고 있는 체제에 대한 불만"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에서는 사회에 널려 있는 젊은이들과 후방공급이 어려운 보병병사들을 내부 불만세력으로 간주하고 어떤 방법으로든 통제하려 든다"며 "이들을 가장 쉽게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 돌격대와 같은 집단생활을 시키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소식통은 "집단생활을 하는 군인들과 돌격대원들 속에는 보위부 요원들이 많이 섞여 있어 함부로 사회적 불만을 드러냈다가는 크게 당한다"며 "이런 내용들은 나 혼자만 파악하고 있는 일이 아니라 주변 간부들과 대학생들까지도 잘 알고 있는 사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