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대북송금·통화 어려워져…코로나19 여파”

0:00 / 0:00

앵커 : 최근 한국 내 탈북민들과 북한 내 가족들 간의 통화와 대북송금이 어려워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코로나19,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사태로 인한 여파로 관측됩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내부와 정기적으로 통화를 하는 한국 내 복수의 탈북민들은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사태로 인해 올해 초부터 한국 내 탈북민과 북한 내 가족들 간의 교류가 상당부분 차단됐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북한 당국이 신형 코로나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국경을 차단하고 국경과 북한 내의 인적 움직임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발생한 여파라는 것이 탈북민들의 전언입니다.

정기적으로 중국 단둥을 오가는 한국 내 탈북민 단체의 관계자는 29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통화에서 북한 당국이 밀수와 관련된 움직임을 강력하게 통제하다 보니 대북송금도 어렵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내 탈북민이 북한 내 가족들에게 보내는 현금을 전달해 왔던 밀수업자들의 움직임이 북한 당국에 의해 상당히 위축됐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이에 따라 최근 대북송금 수수료가 인상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밀수 과정에서 신형 코로나가 확산되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에 밀수 행위를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다”며 “북한 당국이 국경을 통제한 올해 초부터 북한 내 가족들과의 통화와 대북송금이 어려워졌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내 탈북민 단체인 탈북자동지회의 서재평 사무국장은 신형 코로나로 인해 북한 내 이동 통제도 강화되면서 전화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 국장은 “북한 내에서 외부와의 통화를 하려면 국경이나 산의 높은 지대까지 이동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신형 코로나로 인해 이 같은 이동 자체가 북한 주민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다만 북한 내 가족들과의 통화 자체가 완전히 차단된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안명철 NK워치 대표도 “북한 내 가족들과의 통화가 어려워진 것은 최근 악화된 남북관계의 영향도 있겠지만 근본 원인은 신형 코로나”라며 “전화 연락 자체가 어렵다보니 대북송금 자체도 어려워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에서 수의방역 담당 공무원이었던 조충희 굿파머스 연구위원은 북한 당국이 방역 차원에서 주민들의 동선 파악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충희 굿파머스 연구위원 : 북한 주민들이 장사를 하려면 여행 증명서가 필요한데 당국에서 이를 잘 승인해주지 않습니다. 여행 증명서를 받으려면 보위지도원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말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단위별 조직의 책임자들이 구성원들의 동선을 파악하려고 하는 등 기존과는 다른 행동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북한이 북한 내 정보의 유출을 막기 위해 중국 전화를 단속하고 있어 최근 북한 주민들과의 통화 자체가 어려워졌다는 주장도 제기됩니다.

북한 내부와 정기적으로 통화를 하는 한 대북소식통은 북한 당국이 중국 전화에 대한 집중 단속을 3월말부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이 북한 내 정보 유출의 진원을 중국 전화기로 지목하고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했다는 겁니다.

이 같은 여파로 밀수, 대북송금 등 중국 전화를 통해 이뤄지던 기존의 움직임들에 차질이 빚어졌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북한인권정보센터(NKDB)가 지난해 한국 내 탈북민들의 경제활동을 조사해 펴낸 ‘2019 북한이탈주민 경제사회통합실태’에 따르면 조사대상 431명 가운데 61%인 264명은 북한으로 송금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들 가운데 2019년에도 대북송금의 경험이 있는 탈북민 123명의 1회 평균 송금액은 약 1300달러였습니다. 조사 대상 탈북민들의 지난해 최고 송금액은 약 1만 9000달러, 최저 송금액은 약 210달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