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측 통일부가 한 외신의 최근 보도에 대해 "오보"라고 일축했습니다. 박근혜 정부의 김정은 암살 계획을 다룬 일본 언론을 겨냥한 발언으로 보이는데요. 일각에서는 "북한 내부에 김정은 암살 움직임이 실제 있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확인되지 않은 내용의 보도는 남북 관계에 불필요한 오해나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남측 통일부가 30일 열린 정례 기자 간담회에서 밝힌 정부의 입장입니다. 기자들의 질문이 없었는데도 통일부가 자청해 이 같은 발언을 내놓은 겁니다. "김정은 위원장을 끌어내리려는 정책 결재 서류에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서명했다"는 일본 아사히 신문의 지난 26일 보도에 대한 반박으로 보입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 일부 외신에서 사실관계 확인이 안 된 잘못된 보도로 인해 남북관계 또는 한미관계에 불필요한 오해나 갈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통일부는 관심사항에 대해 사실관계에 입각해 명확하게 알려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일각에서는 주체가 다를 뿐 북한 내부에서 김정은을 암살하려는 시도가 실제 있었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소수의 북한 주민이 이를 도모했다는 겁니다.
대북소식통은 3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 내부에 김정은을 제거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는데 최근 적발된 것으로 안다"면서 "주동자가 몇몇을 포섭해 움직였는데 조직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소규모 인원이었다"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지난 5월 북한 국가보위성 대변인이 '최고수뇌부를 해치기 위한 음모가 있었다'고 밝혔는데 이와 관련한 움직임이었던 것 같다"라고도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최고수뇌부에 대한 암살 시도 사건을 최근 공개한 것 자체가 이례적이라고 평가합니다. 김정일 시대에는 볼 수 없었던 현상이라는 겁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정일 시대에도 암살 시도가 있었지만 당국이 이를 밝힌 적은 없습니다. (김정은) 위해 시도는 사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어 조 연구위원은 "만약 북한 주민에 의한 암살 시도가 있었다면 북한 입장에서는 이 배후에 한·미 당국이 있다고 주장할 것"이라면서 "또한 웜비어 사건 이후 궁지에 몰린 북한은 '우리도 테러의 피해자'라는 식으로 상황 반전을 노릴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북측은 아사히 신문의 '김정은 암살 계획' 보도를 전후로 두차례에 걸쳐 "최고수뇌부를 향한 화학테러 시도가 있었다"는 구체적인 내용의 보도를 낸 바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