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농촌산간지역 주민도 공민증 교체 시작

0:00 / 0:00

앵커 : 북한당국이 11월부터 농촌 산간지역 주민들에게도 새 공민증을 발급해주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올해 초 도시지역 주민들의 공민증 교체사업을 진행하다 자금난으로 중단했던 북한당국이 이달부터 2차 공민증 교체사업을 시작하면서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하고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10일 “11월 초부터 온성군에서는 농촌산간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2차 공민증 교부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2차 공민증 교부사업은 이달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지난 1월 시작된 1차 공민증 교부사업은 도시지역과 읍 소재지 주민들까지 진행되다가 중단되어 산간지역 주민들은 새 공민증을 받지 못했었다”면서 “지금 2차 공민증 교부가 진행되면서 농촌, 산간지역 모든 주민들이 새 공민증을 받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지난 주 리 보안서에서는 농장작업반장을 통해 작업반실에서 농민들에게 새 공민증을 수여한다며 날짜와 시간을 정하고 농민들을 집합하도록 지시하였다”면서 “그러나 추수에 바쁜 산골 사람들은 새 공민증 발급에 관심이 없어 절반도 모이지 않았으며, 화가 난 보안원은 오지 않은 주민들은 군 보안서에 자체로 올라가 공민증을 찾아가라고 말하고 가버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소식통은 “새 공민증 교부사업은 지난해 평양시부터 시작되었으며 올해 초 도, 시, 군 단위 순위로 진행되었다”면서 “자금난으로 공민증 교부가 동시에 진행되지 못하고 대도시 주민들 순위로 발급되면서 주민들은 공민증 교부에서도 도시와 농촌 주민을 차별한다며 공민증 교부사업을 비판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지난 3월 진행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에서 산간지역사람들은 옛날 공민증을 가지고 선거장에 나가 투표했다”면서 “여행증명서를 발급받거나 장거리 이동시 주민들의 신분을 확인하는 사법기관에서도 지역에 따라 공민증 교부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 공민증 때문에 문제를 세우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새 공민증이 발급되면서 사법기관에서는 지역마다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민등록인원수를 정확히 통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새 공민증 발급명단에서 빠진 주민들은 모두 탈북자로 집계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8년마다 진행되는 공민증 교부사업을 두고 주민들은 공민증을 만드는 자재 수입에 외화를 낭비하면서까지 탈북자를 색출하는 방법으로 공민증 교체를 들고 나와야 되겠느냐면서 당국의 주민통제를 비난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