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한국과 핵전쟁 연습을 논의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한국 대통령실은 미국과 핵 전력에 대한 공동 기획 및 연습을 논의하고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핵전쟁 연습'과 '핵 전력에 대한 공동 기획 및 연습'의 개념상 차이로 혼선이 빚어졌다는 설명입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은혜 한국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3일 기자들에게 보낸 서면 설명문을 통해 지난 2일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밝힌 미국의 핵전력과 관련한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지난 2일 한국의 한 언론과 가진 인터뷰에서 “미국의 핵전력을 공동으로 기획, 연습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 뒤 조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과 핵전쟁 연습을 논의하지 않고 있다고 하자 이와 관련한 추가 설명을 위해 입장을 내놓은 것입니다.
김은혜 수석은 “한미 양국은 북핵 대응을 위해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핵 전력 자산의 운용에 관한 정보의 공유, 공동 기획, 이에 따른 공동 실행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오늘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은 질문을 던진 기자가 거두절미하고 ‘핵전쟁 연습을 하고 있는지’를 물으니 당연히 아니라고 답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김 수석은 핵 전쟁 연습(Joint nuclear exercise)은 핵 보유국들 사이에 사용할 수 있는 용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2일 휴가를 마치고 백악관으로 복귀하면서 “한국과 핵전쟁 연습을 논의하고 있나(Are you discussing joint nuclear exercises with South Korea right now)”라는 질의에 “아니오(NO)”라고 답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국방부는 지난해 11월 열린 제54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에서 양국 간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분야별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이미 합의한 바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하규 한국 국방부 대변인: 한미는 작년 11월 제54차 SCM에서 북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 공유, 협의 체계, 공동 기획 및 공동 실행 등 확장 억제 분야별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에 한국 군은 긴밀한 공조 하에 다양한 확장 억제 실행력 강화 방안을 협의 중입니다.
제54차 한미 SCM 공동성명에는 미국이 핵, 재래식, 미사일 방어능력 및 진전된 비핵능력 등을 포함한 모든 군사능력을 운용해 한국에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내용과 북한의 핵 사용을 가정한 확장억제수단운용연습(DSC TTX, Table Top Exercise)을 연례적으로 개최하기로 합의한 내용이 담겼습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국의 전략자산을 적시에, 조율된 방식으로 한반도에 전개하는 등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조치들을 확대, 강화하는 새로운 조치들을 한미가 찾을 것이란 입장도 담겼습니다.
전하규 한국 국방부 대변인은 “한미 간 다양한 방안을 협의 중”이라며 “다만 세부적인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리는 것은 제한된다”고 말했습니다.
3일 한국 연합뉴스도 미국 바이든 행정부 고위당국자를 인용해 “한미가 확장억제를 강화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며 “이는 한미가 기획, 정보공유, 연습, 훈련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힌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과 일치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정부는 북한이 조만간 열병식을 개최할지 여부에 대해 주시하고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3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미공조를 바탕으로 열병식 준비를 포함해 북한 지역 동향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당 총비서의 생일인 오는 8일 북한에서 특정 행사가 열릴 가능성에 대해서는 “북한 내에 김정은 총비서 생일이 공지돼 있지도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도 북한의 열병식 관련 동향에 대해 “지난해 연말부터 해당 지역 일대에서 식별된 인원 및 차량에 대해 한미 정보당국이 면밀히 주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
기자 목용재,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