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유럽 등 6개국 “한반도 CVID 목표…북, 대화 선택할 때”

0:00 / 0:00

앵커 :미국과 유럽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과 일본은 북한이 지난주 발사한 탄도미사일과 관련해 불법 무기 개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나설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0일 지난주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비공개 회의를 열고, 지난 5일 있었던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의를 소집한 미국, 영국, 프랑스, 알바니아, 아일랜드 등 5개국 유엔 안보리 상임 및 비상임 국가와 일본 유엔 주재 대사는 회의에 앞서 기자 설명회를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회의 참가국 대표로 공동성명을 발표한 린다 토머스-그린필드(Linda Thomas-Greenfield)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가 여전히 유엔의 공유된 목표로 남아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고위관리가 'CVID'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드문 일입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토머스 -그린필드 대사:우리는 (북한) 비핵화를 위해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에 참여하고 지원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 이제 북한은 불법적이고 위협적인 무기 프로그램 대신 대화와 평화를 선택해야 합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또 북한에 불안정 유발 행태를 자제하고, 금지된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이 군사 개발에 비용을 투자하는 동안 북한 주민들이 독재정권 아래서 고통을 받으며 더욱 심각한 인도적 위기에 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이어 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대북제재 이행의 의무를 다하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안보리 회의에서는 참가국들 중 일부가 성명으로 공동 입장을 발표한 것 외에 언론성명이나 의장성명, 제재결의 등 추가 조치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또한 공동성명 발표에 유엔 안보리 비이사국인 한국을 비롯해 북한의 우호국인 중국, 러시아는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최영삼 한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불참 이유에 대해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 대화 재개를 위한 모멘텀(추진력) 유지 필요성 등을 거론하며 "다양한 요소를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도 11일 북한 관련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비공식 협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북한은 지난 6일 관영매체를 통해 5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극초음미사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모든 탄도미사일 발사 및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모든 비행체 발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