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전략자문사 “북 올해 7차 핵실험 가능…고위험 국가”

'컨트롤 리스크'는 올해 북한을 위험도가 높은 9단계 국가로 지정했다.
'컨트롤 리스크'는 올해 북한을 위험도가 높은 9단계 국가로 지정했다. (/컨트롤 리스크 홈페이지)

0:00 / 0:00

앵커 :영국의 한 전략 자문회사는 지난해부터 집중적인 미사일 도발에 나선 북한이 올해 추가 미사일 시험과 7차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며 위험도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지목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국의 수도 런던에 기반을 두고 있는 위기 및 전략 자문회사인 ‘컨트롤 리스크’(Control Risk)는 최근 전 세계 국가별 새해 위기상황 전망을 나타내는 위험지도(Risk Map 2023)를 발표했습니다.

‘컨트롤 리스크’는 매년 각 국가의 지정학적 위기를 분석해 사업을 위한 위험도를 1~10단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올해 보고서에서 위험도가 높고(high), 고조되고 있는(increasing)는 9단계로 평가됐습니다.

보고서는 세계 곳곳에서 핵무기 사용 위험이 있다며, 북한이 올해 7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북한과 함께 9단계로 위험도가 높은 국가에는 전쟁을 겪고 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비롯해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예멘 등이 포함됐습니다.

미 연구기관 윌슨센터 역시 지난 6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2023년 한반도 전망’ 관련 보고서에서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위해 지난해 사상 최다 미사일 시험을 했다고 지적하면서 올해 김정은 총비서가 정권 수호, 제재 완화, 한미동맹 분리를 위해 미사일 실험을 늘리고, 7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한미 양국의 대북 외교 의지와 비핵화 목표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사실상 협상으로 돌아올 이유가 없다며,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확산을 막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보고서는 따라서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대북제재 강화 및 억제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미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북한에 대한 확장된 핵 억지력 및 한미동맹 강화, 한미일 3국 간 요격체계 협력을 통한 미사일 방어체계 강화를 꼽았습니다.

미 연구기관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 연구원은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지난해 코로나 상황으로 인한 북한의 식량난 및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올해도 북한의 무력 도발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맥스웰 연구원 :김정은 총비서가 갖고 있는 건 무기가 전부입니다. 북한은 한국, 미국으로부터 양보를 얻어내기 위해 계속해서 무기를 시험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맥스웰 연구원은 북한이 실제 7차 핵실험에 나선다 하더라도 놀라운 일이 아니라며, 한미동맹의 공고한 협력 속 억지력 강화 등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독일에 기반한 위기분석업체 A3M은 9일 발표한 2023년 위기전망 지도(Risk map 2023)에서 북한에 대해 여행 위험도가 높은(High) 국가로 분류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