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커트 캠벨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은 북한이 도발 행보를 이어가면서 외교에는 관심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한미일 3국은 여전히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캠벨 조정관은 북한이 도발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하며 이는 외교에 대한 북한의 무관심한 태도를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North Korea that continues provocative steps appears at least at this time disinterested in diplomacy, not only with the United States, but South Korea and Japan.)
그는 12일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2023 인도태평양 전망’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안이 있는지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도발적인 북한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 간 대북정책을 긴밀히 조율했으며, 준비태세 및 억지 노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습니다.
캠벨 조정관 :우리는 (북한 문제 대응에 있어) 한국뿐 아니라 일본과의 협력 관계에서도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봅니다. 지난 11월 한미일 정상들은 캄보디아(캄보쟈)에서 만나 억지력 유지의 중요성과 북한 도발에 대한 우리의 단호한 대응에 대해 매우 강력한 입장을 취했습니다.
아울러 캠벨 조정관은 미 워싱턴DC에서 북한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지만 “미국이 대북 관여를 위해 시도했던 수많은 전략들이 대부분 무시당했고, 대신 북한의 도발과 격한 발언들을 보며 약간의 좌절감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그는 “한미일 3국은 북한과 마주앉아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미국이 이에 대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중국과도 접촉했지만 더이상 덧붙일 말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언젠가는 (도발의) 길에서 벗어나기를 희망하지만, 현재 그러한 징후는 보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조태용 주미대사도 이날 토론회에 참석해 지난해 북한의 전례없는 미사일 발사를 언급하며 향후 북한의 긍정적인 행보를 전망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조 대사는 북한의 점증하는 도발 및 한미 간의 연합훈련 강화 등 양측 간 갈등이 고조되는 현 상황에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지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북한은 북한 주민들의 인권과 경제 발전을 위한 길을 갈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김정은이 핵 능력과 관련한 약속은 어느정도 이행했지만 경제 발전 측면에서는 실패했다”면서 “이러한 측면에서 봤을 때 북한의 상황은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조 대사 :북한은 안타깝게도 잘못된 길을 선택했습니다. 한국의 윤석열 정부는 북한과 북한 주민, 또 역내 모든 국가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담대한 구상'을 제시했는데 북한이 우리의 제안에 대해 더 곰곰히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응답하길 바랍니다.
조태용 대사는 또 북한 주민들의 인권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북핵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면서 인권이 그 노력의 필수적인 부분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