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외교 당국자가 북한의 중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향후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재개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고위 관계자는 30일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로 인해 미국이 북한의 ICBM 시험 발사와 핵실험 가능성을 우려하느냐는 질문에 "물론 우려한다"며 "그들은 어제 뿐 아니라 이달 들어 수많은 시험 발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우리는 분명히 추가 시험을 보길 원치 않는다”며 “그간 추가 시험을 자제할 것을 북한에 촉구해 왔다"고 언급했습니다.
또 북한의 이번 발사가 역내 및 미군에 대한 위험을 높이고, 점점 더 불안정하게 만드는 반복되는 행위라면서 이는 대미 압박 증가 및 무기 체계 검증을 위한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및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존 커비 미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미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주말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확인했고, 우린 이를 규탄했다"면서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으로 전 세계 동맹국 및 협력 대상국들과 다시 이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국방부가 북한의 도전에 집중하고 있다”며 “김정은 총비서의 지속적인 탄도미사일 위협은 한국, 일본 등 동맹국에 대한 위협으로 이들 국가와 긴밀히 조정,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과의 외교에 열려있다면서도 북한의 위협에 대한 방어태세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커비 대변인 :우리는 북한에 전제조건 없이 앉아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지만 김정은 총비서는 분명히 다른 길을 가길 원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한반도와 이 지역에서 군사적인 대비태세를 확실히 해야 합니다.
한편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대사도 이날 ABC뉴스에 출연해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시험에 대해 "이는 도발적인 행위로, 우리가 유엔 안보리에서 매우 강력하게 규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미국은 최근 대북 독자 제재를 가했고 안보리 내에서 제재를 추진해왔다"며 "위협을 받는 일본뿐 아니라 한국과 협력해 대응할 다른 선택사항들을 살펴볼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이상민,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