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이목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 문제가 더욱 관심 밖으로 밀려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일 취임 이후 첫 국정연설에서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비난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경제 재건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밝혔습니다.
민주당 소속의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지원과 관련해 다른 동맹국들과 함께 한국을 언급하긴 했지만 북한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습니다.
국정연설 이후 미국 공화당 소속 전·현직 정치인들은 지속적인 미사일 위협을 가하는 북한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점을 지적했습니다.
공화당 소속 빌 해거티 상원의원은 1일 국정연설이 끝난 직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에 "러시아는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정책 위기 중 하나"라며 다른 주요 외교사안으로 이란과 북핵 위협 증가, 아프가니스탄의 테러 위협, 중국의 세계패권을 꼽았습니다.
공화당 전국위원회(RNC) 로나 맥대니얼(Ronna McDaniel) 위원장은 2일 트위터에 "바이든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이들을 언급하지 않음으로써 우선순위가 잘못됐음을 분명히 했다"며 북한을 비롯해 이란, 쿠바, 이스라엘, 실패한 아프가니스탄 철수 등을 사례로 들었습니다.
킴 레이놀즈(Kim Reynolds) 아이오와주 주지사는 1일 대통령의 국정연설에 대한 공화당의 입장을 전하는 영상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 문제를 포함한 외교 문제에 실패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레이놀즈 주지사 :북한은 다시 빈번하게 미사일 시험에 나서고 있습니다. 미 하원의장은 최근 미국 올림픽 선수들에게 중국에 반하는 의견을 내지 말라고 경고했고, 이제 러시아는 민주주의, 자유, 법치주의에 대한 공격으로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당하지 않은 전면적인 군사 침공을 시작했습니다.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역시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번 국정연설에 대한 입장을 전하면서 "우리는 긴급 사안들에 대한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조치를 듣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볼턴 전 보좌관은 그러면서 3가지 제안사항 중 하나로 북핵 문제를 거론하며 “미 의회는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이나 북한과 맺은 모든 핵 거래 조약의 비준안을 상원에 제출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올해 들어 북한은 최근까지 총 8차례에 걸쳐 미사일 시험발사에 나서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 미사일 시험은 지난달 27일 탄도미사일 발사로 북한은 이에 대해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 연구기관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 연구원은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연설에서 북한 언급이 제외된 것을 한반도 문제에 대한 경시로 해석해선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맥스웰 연구원은 “북한 문제가 항상 최전선에 있을 순 없다”며 “미 국무부, 국방부, 재무부 내 한국담당 부서에서 한반도 문제를 열심히 다루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당장 많은 시급한 문제들이 있지만 미국 정부가 한국 문제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는 것은 확신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 연구원 역시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국정연설은 제한된 시간에 방대한 주제를 다뤄야 하는 만큼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우선순위에 둔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오히려 대화에 관여하기를 꺼리는 북한의 태도가 미국의 외교정책 우선순위에서 북한의 중요성을 감소시킨다고 반박했습니다.
한편 2일 발표된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의 올해 정기 이사회 공식 성명 역시 이례적으로 북한 관련 언급이 빠지고, 대부분 우크라이나 분쟁과 이에 따른 핵 안보 영향에 대한 내용으로 채워졌습니다.
매년 IAEA 정기이사회 첫날 발표되는 사무총장 성명은 북핵 위협과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에 대한 내용을 담곤 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