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하더라도 러시아가 유엔의 추가 대북제재를 막아줄 것으로 생각하고 우크라이나 침공 후 국제적으로 고립된 러시아와 밀착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무부 차관이 22일 신홍철 주러시아 북한대사를 만나 "국제정세 변화의 맥락에서" 상호 관계를 발전시키는 방안과 한반도 상황을 비롯한 지역문제들에 대해 논의했다고 러시아 외무부가 이날 밝혔습니다.
이는 북한이 지난 2일 유엔 긴급특별총회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 채택에 반대표를 던진 후 러시아와의 밀착 관계를 강화하고 있는 또 다른 방증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결의안 표결 당시 반대표를 던진 나라는 북한을 포함해 러시아, 벨라루스, 시리아, 에리트리아 등 5개국에 불과했습니다. 중국, 인도, 이란, 쿠바 등은 기권표를 던졌고 표결에 참석한 181개국 중 141개국은 압도적으로 결의안을 찬성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허드슨연구소 패트릭 크로닌 아시아∙태평양 안보석좌는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고 있는 러시아 편을 들며 향후 러시아가 추가 유엔 대북제재를 막는 역할을 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더불어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기술적인 지원을 러시아에서 바라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 외교정책위원회(AFRC)의 러시아 전문가인 스티븐 블랭크(Stephen Blank) 선임연구원은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이 시점에서 러시아와의 연대를 강화하는 것은 대륙간탄도미사일발사와 관련된 러시아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라고 주장했습니다.
블랭크: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러시아의 외교적 지원을 바라고 있습니다. 또 러시아가 유엔 대북제재를 계속 위반해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미국 랜드연구소 수 김 정책분석관도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러시아는 중국과 더불어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를 반대하는 나라라며 북한은 러시아와 연대를 표현하며 대북제재 완화 등 러시아의 지원을 얻으려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민간연구기관인 아틀란틱 카운슬의 로버트 매닝 선임연구원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어 거의 '제2의 북한'이 된 러시아는 자기편을 들어줄 우방국을 찾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런 차원에서 그는 현재 러시아가 북한과의 연대에 나섰지만, 만일 향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패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축출당하고 미국에 우호적인 후임자가 나온다면 러시아는 북한 핵을 비롯, 핵확산금지에 단호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기자 이상민,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