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앰네스티 “북, 주민들에 코로나 백신 보장해야”

미국 정부가 지원한 모더나사의 코로나 백신이 캐냐 나이로비 공항에 도착해 있다.
미국 정부가 지원한 모더나사의 코로나 백신이 캐냐 나이로비 공항에 도착해 있다. (/AP)

0:00 / 0:00

앵커: 국제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는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을 처음으로 시인한 북한 정권에 주민들이 백신을 맞을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한덕인 기자입니다.

국제앰네스티는 12일 발표한 성명에서 ‘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확산세가 여전한 가운데, 북한 정부는 반드시 자국 주민들에게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단체의 장보람 동아시아 연구원은 성명에서 지금까지 북한 정권이 코로나19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충분한 백신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줄 증거는 전무하다고 지적했습니다. (There is no evidence to show that North Korea has access to enough vaccines to protect its population from Covid-19.)

그러면서 “그런데도 북한은 세계보건기구의 코백스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아스트라제네카 및 시노백 백신 수백만 회분을 거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원래 국제 백신 공급 프로젝트 코백스는 투명한 분배감시 체계에 기반해 세계에 코로나19 백신을 평등하게 공급하기 위한 취지로 설립됐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국제앰네스티는 북한이 자국 내 코로나19 확진 사례를 처음 공식 확인한 상황에서 북한이 계속 국제사회의 백신 지원 노력을 거부하는 정책을 유지한다면 “많은 생명을 앗아갈 수 있고 주민들의 건강유지권을 보장하는 책무를 방기하는 비양심적인 행위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정부는 즉시 국제사회와 협력해 주민들을 위한 코로나19 백신 확보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hould immediately establish plans to secure Covid-19 vaccines for its population by cooperating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이와 관련, 마키노 요시히로 일본 아사히신문 외교전문기자는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이번에 처음으로 코로나 발생을 인정한 것은 보건의료적 관점을 벗어나 북한의 사회 분위기를 다잡기 위한 내부적인 의도가 더 커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마키노 기자는 외부지원에 대한 ‘노림수’도 북한이 고려헀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마키노 기자: 북한이 그런 표현을 했다는 건 여러 외국 지원을 얻어내기 위한 노림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는 북한이 현 시점에서 중국이나 러시아의 지원을 내심 바라며 한국이나 미국의 지원 의사에는 반응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북한 의료보건 전문가인 안경수 한국 통일의료연구센터장은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특히 최근 북한 매체의 관련 보도는 “결국 주민들한테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며 내부 결속 등 주민 사회 분위기 통제를 염두에 둔 측면이 더 커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또 안 센터장은 북한 당국이 실제 외부로부터 코로나19 지원을 원하고 있다면, 주사기로 투여되는 일반 코로나19 백신보다 ‘먹는 치료제’를 더 선호할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다만 특히 ‘먹는 치료제’의 경우 한국도 실제로 보유한 수량이 많지 않고, 남북관계의 현주소를 고려할 때 북한은 한국의 지원은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기자 한덕인,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