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한에 ‘조건없는 대화제의’ 고위급 메시지 전달”

0:00 / 0:00

앵커 :주유엔 미국대표부의 제프리 드로렌티스 차석 대사는 미국이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대화를 원한다는 내용의 고위급 메시지를 비공식적으로 북한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8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유엔체제 강화(Strengthening of the United Nations system)’란 제목의 유엔 총회 본회의가 소집됐습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유엔 주재 미국 대표부의 제프리 드로렌티스 차석대사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미국은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대화를 원한다고 거듭 공개적으로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드로렌티스 차석대사 : 우리는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대화를 원한다는 미국 고위 관리들의 고위급 메시지를 포함해 북한 고위 관리들에게 비공식 통로(private channels)를 통해 전달했습니다.

그는 “해당 메시지를 제3자를 통해 서면으로 구체적인 제안들과 함께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드로렌티스 차석대사는 “미국은 동맹국과 동반자국가, 중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 미국이 북한과의 외교에 열려있다는 점을 전달하고, 우리가 북한과 국제사회의 관심사를 모두 다루는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를 추구한다는 것을 분명히 해달라고 독려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북한의 코로나 발병 시인 이후 관련 대응을 돕기 위해 북한 주민들에게 백신 등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우리는 중국 측에 이러한 미국의 메시지를 북한에 전달해 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에 그들은 우리의 이러한 노력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안타깝게도 미국은 이러한 제안에 대한 북한의 응답을 받지 못했다”며 “그 대신, 북한은 지역뿐만 아니라 세계를 위협하는 반복적이고 불안정한 미사일 발사로 응답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날 유엔 총회 본회의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할 시 업무일 기준 열흘 내에 그 이유를 설명하고 회원국 간 토론을 개최하도록 결정하는 내용의 총회 결의 76/262호를 근거로 소집된 겁니다.

앞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 달 26일, 북한이 3월 24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한 것에 대응해 허용된 정제유 연간 공급량을 줄이는 등 제재를 강화하는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지만 상임이사국인 중∙러가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채택이 무산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드로렌티스 차석대사는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에 대한 설명은 불충분하며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하며 “북한의 불법 대량살상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중단을 논의하는 등 비확산의 가치를 옹호하는 안보리 및 모든 회원국과 정기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조현 주유엔 한국대사는 “안보리는 매우 유감스럽게도 2006년 이후 처음으로 북한의 심각한 도발에 대응하는 데 실패했다”고 말했습니다.

조 대사는 “일부에서는 안보리의 침묵이 북한의 자제와 대화를 유도할 것이라고 주장한다”고 말하며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오히려 지난 토요일에만 8발의 발사가 있었고, 올해 가장 많은 탄도미사일 발사를 목격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아울러 “(유엔 체제 강화를 위해) 회원국들이 연대해 도움을 촉구하며 안보리가 특히 북한 문제에 대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일본 대표도 “중∙러의 거부권 행사로 인한 안보리의 침묵은 상황을 해결하지 못했다”고 지적했고, 유럽연합 대표도 “채택되지 못한 이번 결의안은 국제법 위반 시 때때로 제재의 형태로 책임을 물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앞서 이날 발언에 나선 장쥔 주유엔 중국대사는 현재 한반도 정세는 긴박한 상황이라며 “미국은 (결의안에 대한) 표결을 밀어붙여 의도적으로 안보리 내에서 대립을 일으켰고, 합의가 결여된 미국의 결의안 초안에 중국은 반대표를 던질 수밖에 없었다”며 “미국은 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뒤를 이어 안나 에브스티그니바 주유엔 러시아 차석대사도 “미국이 결의안 초안에 대한 협의 과정에서 러시아가 북한의 인도적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새 대북제재를 가하는 이 결의안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반복적으로 말했음에도 이를 무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는 “우리가 무기를 현대화하는 것은 미국의 직접적인 위협과 미국이 북한을 상대로 군비를 강화하는 것에 열중하고 있는 상황으로부터 국가의 안보와 근본적인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정당한 자위권”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