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싱가포르 통화청(MAS)은 자국 금융기관들을 대상으로 북한이 연계된 위법 행위에 더 큰 경각심을 갖고 관련 의무를 계속 준수해 나갈 것을 주문했습니다. 보도에 한덕인 기자입니다.
싱가포르 통화청은 28일 성명을 내고 지난주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가 북한을 자금세탁과 테러자금조달방지, 대량살상무기 확산자금방지 관련 ‘고위험 국가’로 재지정한 결정을 상기하면서, 자국 금융기관들이 북한 관련 금융범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구했습니다. (In considering the range of counter-measures, FIs in Singapore should consider DPRK a high risk jurisdiction and apply enhanced due diligence measures accordingly.)
북한은 특히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가 각국에 거래중단 및 해외사무소 설립 금지 등 대응조치(counter-measure)를 적용할 것을 촉구한 대상이기 때문에 금융기관들은 직간접적으로 북한과 연계된 사업 관계를 맺는 것과 더불어 거래를 추진하는 데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겁니다.
또한 자국 금융기관들은 싱가포르 정부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이행을 위해 지난 2016년 제정한 국내법이 규정하는 요건을 지속적으로 준수하고, 통화청이 제공한 지침을 참고해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FIs should also continue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in the MAS (Sanctions and Freezing of Assets of Persons – DPRK) Regulations 2016, and take appropriate risk mitigation, incorporating the relevant guidance provided by MAS.)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내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AML/CFT) 관련 규정을 따르는 비금융 기관 역시, 최근까지 갱신된 자국 및 국제 규범을 숙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한다고 통화청은 밝혔습니다. (Non-financial institutions that are subject to AML/CFT requirements in Singapore are similarly advised to note the updated and new statements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in accordance with your respective AML/CFT obligations, and the relevant UN Regulations.)
싱가포르 통화청은 이날 성명에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는 북한이 제기하는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 체제에 대한 중대한 결함이 해결되지 못하는 것에 대해 계속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국제 금융체계의 무결성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기구 회원국들은 “북한의 불법 활동에 따른 자금세탁, 테러 및 핵확산 자금 조달 위험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이같은 결함을 즉각적이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는 1989년 금융기관을 이용한 자금세탁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설립된 국제기구로, 현재 싱가포르를 비롯한 한국, 미국, 중국 등 37개 국가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걸프협력회의 등 2개 국제기구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덕인,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