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로버트 에이브럼스(Robert Abrams) 전 주한미군 사령관은 이전 한국 정부가 한국에 배치된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운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발표했었다는 중국 정부의 주장과 관련해 재임시 사드 운용에 제한을 받은 적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에이브럼스 전 사령관은 11일 재임 중 사드를 운용하는데 한국 정부로부터 제한받은 적이 있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질의에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주한미군 사령관으로 한국에 있으면서 사드 체계는 다가오는 탄도미사일을 격퇴하고 한국인들과 기반시설을 보호하는 방어임무를 완전히 수행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While I was in Korea from 2018-2021 the THAAD system was always fully capable of conducting its defensive mission to defeat any incoming ballistic missiles and protect Korean people and infrastructure along with select ROK-US forces)
앞서 중국의 왕원빈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0일 미국이 한국에 사드를 배치한 것은 명백히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을 해치는 것이라면서 이전에 한국 정부가 '3불(不)-1한(限)' 즉, 사드를 추가배치하지 않고 미국의 미사일방어 및 한미일 군사동맹에 불참하며 배치된 사드의 운용을 제한한다는 정책을 공식적으로 발표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에이브럼스 전 사령관은 중국 외교부는 한국에 배치된 사드와 같은 방어체계가 어떻게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을 침해하는지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면서 중국 측은 아직 이 주장을 정당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중국 외교부 언급이 한국 외교부의 언급과 일치하지 않은 것은 흥미로운 것이라며 국가 간 최고위급에서 의논된 중요한 국가문제에 대해선 보통 토의 및 합의 내용을 설명하는 공동성명이 나온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사드가 배치된 2017년 이후 지금까지 이런 공동성명 없이 중국은 한국에 자위권을 포기하도록 계속 압박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오히려 중국 동쪽에 한국을 겨냥해 설치한 중국의 새 레이더와 중국 북부 전구 사령부에 배치된 한국을 사정거리 안에 두고 있는 장거리미사일이 한국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말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대통령실은 11일 경북 성주의 주한미군 사드 기지가 이달 말 정상화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자 이상민, 에디터 박봉현,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