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원들, 북한 등 보건분야 사이버 위협 대응 강화 촉구

0:00 / 0:00

앵커 :미국 연방의원들이 보건 분야에서 북한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강화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앵거스 킹(Angus King) 상원의원과 마이크 갤러거(Mike Gallagher) 하원의원은 지난 12일 미 보건복지부 하비어 베세라(Xavier Becerra) 장관에게 의료 보건 분야에서 연방 정부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강화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습니다.

두 의원은 서한에서 의료 부문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행정부와 입법부를 포함한 민관 협력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강력한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또한 현재 보건 당국의 사이버 보안 기반 시설과 위험 요인에 대한 논의를 위해 바이든 행정부의 보건 당국자들에게 긴급 회의 소집을 요청했습니다.

두 의원은 서한에서 코로나 19(코로나비루스 감염증)의 대유행이 의료 및 공중 보건 분야 체계의 문제를 드러냈다며, 랜섬웨어는 코로나19를 이은 또 다른 유행병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랜섬웨어란 몸값을 뜻하는 랜섬(Ransom)과 악성코드(멀웨어/malware)를 합성한 단어입니다.

이어 지난 2년 동안 기회주의적인 범죄자들은 병원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신속하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의료와 공중 보건 분야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이 급증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개인 식별 정보와 건강 정보를 갖고 있는 보건 분야의 조직들은 범죄자와 국가를 배후로 두는 해커들에게 표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서한은 구체적인 국가명을 명시하지 않았지만 최근 북한의 랜섬웨어 공격을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7월 미 법무부는 2021년 5월 북한 해커들이 마우이(Maui) 랜섬웨어를 이용해 캔자스주와 콜로라도주의 의료기관으로부터 갈취한 50만 달러의 몸값을 회수했다고 밝혔습니다.

법무부에 따르면 북한 해커들이 캔자스주 한 병원의 핵심장비 운용 컴퓨터 시스템을 암호화하고 돈을 요구했고, 병원은 북한 해커에게 암호화폐의 일종인 ‘비트코인’으로 약 10만달러를 지불했습니다.

같은 달 미 중앙정보국(FBI)은 재무부, 사이버보안·기반시설 보안국(CISA)과 함께 마우이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공동 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습니다.

기자 자민 앤더슨, 에디터 이상민,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