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한국의 이신화 신임 북한인권대사는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에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내 정보 확산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24일 서울에서 외신을 대상으로 열린 이신화 신임 한국 북한인권대사 기자설명회.
이 대사는 북한 내 인권과 관련해 한국의 북한인권대사로서 대외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가 유엔 등 국제사회에서 북한 내 인권 신장을 이끄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특히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박진 한국 외교부 장관이 지난 7월 외신 기자설명회에서 오는 12월 유엔 총회에서 채택될 북한인권결의안에 4년 만에 다시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힌 입장과 같은 것입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 제안에 4년 연속으로 불참한 바 있습니다.
북한 주민의 알 권리를 위해 북한 내 정보 확산이 시급하다는 입장도 내놓았습니다.
이 대사는 한국 내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방침을 묻는 질문에 “특정한 방법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알 권리는 국제법으로 보호돼야 하는 만큼 북한 내에서도 다양한 수단을 통한 정보 확산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신화 한국 북한인권대사: 북한 주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것은 국제법에도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정보가 반드시 확산돼야 하고, 기존의 수단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창의적인 방법들도 적극적으로 활용돼야 할 것입니다.
이 대사는 그러면서 북한 주민들도 세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열려 있고 투명한 정보 접근 통로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권 탄압 행위와 관련해서는 그에 대한 책임규명 작업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임기 동안 북한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권 관련 문제들을 감시하고 기록해 향후 그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것이 북한인권대사로서의 최우선순위 임무라는 설명입니다.
이 대사는 이를 위해 자체적인 조사 뿐 아니라 관련 부처 및 시민단체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 탈북민 문제에 대한 입장도 내놓았습니다.
이 대사는 중국이 책임 있는 강대국으로서 탈북민들이 원하는 경우 이들을 한국을 비롯한 제3국으로 보내주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해당 문제를 공론화했을 때 실질적인 문제 해결이 더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따라서 중국 내 탈북민 문제와 관련해서는 중국 정부가 정치적·외교적 고려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여유를 주는 방안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사는 또 북한이 최근 윤석열 한국 대통령 등을 실명으로 비난한 것과 관련해 국제 사회에서 정상 국가로서 인정받으려면 그에 맞는 정제된 언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내놓았습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오중석,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