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 조직부 횡포에 간부들 충성도 이탈 조짐

0:00 / 0:00

앵커 : 북한의 각급 당 조직부 당생활지도간부들의 횡포가 극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직부 간부들이 일반 간부와 당원들에 대한 사상교양과 당생활 통제를 이유로 전횡과 횡포를 부리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안창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 청진시의 한 행정간부 소식통은 24일 “지난 7월 초 김정은 주재하에 평양에서 진행된 각급 당 조직부 당생활지도간부 특별강습회를 계기로 조직부의 전횡과 횡포가 극심해지고 있다”며 “조직부 간부들이 일반 간부와 당원들을 쩍하면 해임하고 처벌하는 바람에 간부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8월 초에 있은 어랑천발전소 건설 총화 모임에서 시당 조직부가 7명의 지배인들에게 ‘엄중 경고’ 처벌을 내렸다”며 “이번 총화는 2018년 7월 김정은의 어랑천발전소 시찰 이후 지난 4년간 어랑천발전소 건설정형(실태파악)에 대한 총화(평가) 모임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처벌 이유는 어랑천발전소 건설돌격대에 보내야 할 인력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한 것과 지원물자 조달에서 낙후한 순위였다는 것 등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또 “지난주에 있은 시적인(시 차원의) 비상방역총화에서도 여러 공장 기업소의 지배인들이 방역태만을 이유로 처벌을 받았다”며 “방역 기간 유열환자를 포함한 코로나 감염환자가 많이 발생했거나 손소독제를 갖추라는 지시를 제대로 집행하지 않고 종업원들의 마스크 착용을통제하지 않았다는 것 등이 처벌 이유였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행정 처벌과 달리 당 처벌은 개인 문건에 기록이 남고 승급과 표창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당원이라면 누구나 당 처벌을 두려워한다”며 “이전에는 당 조직부가 지금처럼 간부들에 대한 처벌을 남발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한 기업소의 간부는 처벌이 발표되자 그 자리에서 주변 간부들이 다 듣게 ‘정말 지배인 노릇 더는 못해 먹겠다’고 말하기도 했다”며 “처벌을 받지 않은 다른 간부들도 처벌만이 능사인 것처럼 여기는 조직부에 대한 불만이 매우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남도 단천시의 한 주민은 같은 날 “지금 시당위원회 조직부가 일주일씩 각 공장 기업소를 돌며 당사업에 대한 요해 검열(집중 검사)을 진행하고 있다”며 “요해 검열의 핵심은 당원들의 사상교양과 조직생활 실태 조사이다”라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시당 조직부 당생활지도과 책임지도원 3명이 일주일씩 한 기업소에 머물면서 정치행사, 학습회와 강연회, 당생활총화, 분공 수행 등 당원들의 조직사상생활 전반을 하나하나 따지고 있다”며 “지금까지 이렇게 여러 명의 당간부들이 내려와 주재하면서 검열을 한 적은 없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시당 조직부의 요해 검열이 끝나면 처벌이 뒤따른다”며 “단천상하수도사업소에서는 봄에 한 달 넘게 산에 들어가 농사를 짓느라 당생활에 참가하지 않은 당원, 황주긴등물길공사 돌격대에 석 달간 동원가라는 지시를 가정사정으로 못 가겠다고 한 당원 등 3명의 당원이 경고와 엄중경고 처벌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처벌은 경고, 엄중경고, 호보당원으로 강등, 출당 등의 순으로 수위가 높아집니다.

소식통은 “당세포 별로 매주 진행하는 생활총화도 시당 간부들이 직접 참가해 지도하고 있다”며 “말이 지도지 실제로는 생활총화 참석 인원과 다른 당원에 대한 호상(상호) 비판이 제대로 진행되는지 감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최근 중앙당이 당원들을 바짝 옥죄는 것은 핵심계층인 당원들속에서 김정은에 대한 충성도와 사회주의제도(체제)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라면서 “생활고에 시달리는 주민들의 어려움이 해결되지 않는 한 당원들의 충성도와 신뢰도 하락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저희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지난 7월 12일 평양에서 김정은 주재 하에 처음으로 각급 당 조직부 당생활지도부문 간부 특별강습회가 개최되었다는 소식을 보도한 바 있습니다. 당시 북한 소식통은 간부들이 김정은이 직접 결론과 폐회사까지 했을 정도로 특별강습회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에 대해 향후 전국적으로 간부들에 대한 강력한 단속이 진행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기자 안창규, 에디터 오중석,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