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 전문가 “북, 수입 충분히 안해 식량상황 불안”

0:00 / 0:00

앵커 :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 소속 전문가는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필수적인 식량을 충분히 수입하지 않는다며 북한을 식량상황 불안 국가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막시모 토레로(Maximo Torero) 수석연구원(chief economist)는 1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이달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17억 명의 인구가 식량불안(food insecurity)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데 이들 국가 중 북한이 포함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분쟁을 겪는 국가(conflict country)들은 무역수지 불균형 문제(balance of payments problem)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량 수출보다 수입이 많을 수밖에 없어 (식량불안에) 더 취약하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공급 부족으로 인해 밀과 비료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가장 취약한 국가들의 식량 수입 비용이 지난해에 비해 약 250억 달러 이상 증가해 전세계 17억 명이 굶주릴 위험에 처해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북한을 포함한 분쟁 국가들은 필수 식량을 충분히 수입하지 않고 또 수입을 해도 영양분이 낮은 식량을 수입하는데, 이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토레로 수석연구원은 북한과 아프가니스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소말리아, 시리아, 수단 등 21개의 분쟁 국가를 구체적으로 나열하며 이들이 앞서 언급된 문제들을 겪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미경제연구소(KEI) 트로이 스탠가론 선임국장은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을 분쟁 국가로 제대로 규정할 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지난 2년 반 동안 북한 주민의 핵심 식량인 곡물을 상대적으로 적게 수입하고 농업 관련 물량도 부족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북한의 식량 부족은 코로나 기간 국경을 철저히 봉쇄하며 스스로 자초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토레로 수석연구원은 지난 6월 진행된 제170차 FAO 이사회에서 식량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제안된 정책 중 ‘식량수입금융기구(Food Import Financing Facility, FIFF)’를 설립해 운영하는 것이 북한 등 분쟁 국가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식량수입금융기구란 식량 수입에 의존하는 저소득 국가들의 식량 안보를 보호하기 위해 금융 지원을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토레로 수석연구원은 “식량수입금융기구를 통해 이 국가들의 무역수지 관련 문제를 보완하고 필요한 식량을 수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 아니라, 사회 불안 요소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미첼 바첼레트 유엔 인권 최고대표는 지난 달 31일 ‘2022 한반도 국제 평화 포럼’에서 영상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은 국제사회로부터 어느 때보다 고립돼 있다”며 “북한의 주민 40% 이상이 만성적인 식량불안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