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미일 등 11개 유엔 회원국들이 지난 4일 일본 상공을 비행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을 규탄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과 프랑스, 영국, 노르웨이, 아일랜드, 알바니아 등 6개의 유엔 안보리 회원국 요청으로 5일 오후 소집된 유엔 안보리 공개 회의.
회원국들의 발언에 앞서 모하메드 칼레드 키아리 유엔 중동‧아태 담당 사무차장보는 북한의 이러한 행동은 무모한 것으로 명백한 안보리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북한이 지속 가능한 평화와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주요 당사국들과 대화를 재개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키아리 사무차장보 : (지난 4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무모한 행동이었고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입니다…북한이 대화로 방향을 전환하고 외교적 노력을 바탕으로 행동할 것을 촉구합니다.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발사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몇년 전 안보리가 북한의 도발에 만장일치로 대응했던 것처럼 다시 한번 통일된 입장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올해 초부터 13개의 안보리 회원국들이 북한의 불법 행위를 규탄하고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을 저해하며 대가를 치르게 하기 위한 표결에 동참했지만, 북한은 두 안보리 회원국들의 포괄적인 보호 아래있다”며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했습니다.
이로 인해 북한은 대담해져 올해만 39번의 탄도미사일 시험을 했다며 “우리는 그 어떤 나라도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방어적 행동을 북한 위협의 본질적 원인이라고 비난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토머스 그린필드 대사 :우리 모두가 알다시피, 북한은 안보리 두 회원국의 포괄적인 보호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 두 회원국은 북한의 거듭된 도발을 정당화하고 제재 체제를 갱신하려는 모든 시도를 차단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그린필드 대사는 “미국은 북한이 응답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지만 대화와 외교에 전념할 것이고, 동시에 북한이 미국과 동맹국들, 그리고 전 세계에 직접적으로 가하는 위협을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 경고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은 모든 회원국들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라며 회원국들은 “기존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고 향후 대북 제재 회피 활동을 해결하기 위한 결의안 추진을 계속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회의가 끝난 뒤 미국을 포함한 한국, 일본 등 11개 유엔 회원국들은 기자설명회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북한이 세계 비확한 체제를 악화시키고 국제 사회를 위협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에 침묵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대화에 복귀할 것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성명을 대표로 발표한 그린필드 대사는 “안보리는 북 미사일 발사에 대한 통일된 입장과 향후 조치 모색하기 위해 다음주 중에도 계속해서 이 문제에 관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The council will continue to engage over the course of the next week to find a unified voice and way forward.)
한편 이해당사국으로 이날 회의에 참석한 황준국 한국대사와 이시카네 기미히로 일본대사도 안보리가 지난 5월 미국이 주도해 표결에 부쳐졌던 새 대북제재 결의안이 채택되지 못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며, 지속되는 침묵으로 안보리의 신뢰성이 위태롭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황 대사는 북한에 대한 대화의 문은 여전히 열려 있으며 무조건적인 인도적 지원도 유효하다고 전하며 의미있는 대화에 나설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안보리 대북제재위 의장을 맡고 있는 노르웨이 대사를 포함해 영국과 프랑스, 아일랜드, 영국 등의 회원국들도 북한에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를 위한 조치를 촉구하며 안보리가 더 이상 침묵해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안나 베스티니아니안 주유엔 러시아 부대표와 겅솽 주유엔 중국 부대표는 최근 미국과 다른 국가들의 연합 군사훈련은 북한의 주요 목표를 공격하기 위한 것이라며 훈련을 자제하고 새 대북제재는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할 조치라고 주장했습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이상민,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