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통일부는 북한이 금강산 관광 지구 내 한국 자산에 대한 철거를 계속하는 움직임을 포착했다며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18일 금강산 관광 지구 내 한국 측 자산에 대한 북한의 철거 조치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최근 한국 측 시설에 대한 북한의 지속적인 철거 동향이 포착되자 이 같은 입장을 내놓은 것입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현재 정부는 해금강 호텔, 금강산 골프장, 온정각, 고성각 횟집, 구룡 빌리지 등의 철거가 지속되고 있고 금강펜션타운은 철거가 완료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의 이 같은 행동은 명백한 남북 합의 위반이며 한국 측 재산권에 대한 불법적인 침해의 모든 책임은 북한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분명히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정부는 북한의 동향을 엄중하게 주시하고 있다”며 북한은 지금이라도 이러한 일방적인 행동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통일부는 앞서 지난 8월에도 온정각, 금강산 사업소 등에 대한 북한의 추가 철거 동향을 포착하고 한국 측 시설에 대한 일방적인 철거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금강산 관광은 2008년 한국 관광객 피격사건으로 인해 중단되었습니다.
김정은은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인 지난 2019년 10월 금강산을 현지지도한 이후 한국 측 시설을 철거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김정은의 지시는 2020년 1월 코로나가 유행하면서 실행에 옮겨지지 않다가 올해 들어 3월 해금강 호텔, 4월 금강산 골프장 등이 철거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한국 정부는 대면 실무협의 등을 진행하자는 요청을 했지만 북한은 응하지 않았습니다.
통일부는 지난 4월부터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북한 측에 관련 동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금강산 문제를 협의하자고 재차 제안했지만 북한 측의 응답은 없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외교부는 이날 일본 정부가 북한의 핵ㆍ미사일 개발에 관여한 5개 단체 자산을 동결하는 추가 독자제재를 취한 것과 관련해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미국, 한국의 대북 독자제재에 이어 일본의 이번 제재 발표는 북한의 핵ㆍ미사일 개발에 대해 단호히 대응해나가겠다는 한미일 3국의 강력하고 단합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 한·미·일을 비롯한 유사 입장국들이 독자제재 대상을 교차·중첩적으로 지정함으로써 제재의 효과성을 높인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
일본은 이날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연구개발과 물자 조달에 관여한 로케트공업부, 합장강무역회사, 조선승리산무역회사, 운천무역회사, 로은산무역회사를 약 6개월 만에 추가 제재대상에 올렸습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지난 4일 탄도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하는 등 높은 빈도로 이어지는 북한의 도발은 일본 안보에 있어 중대한 위협이며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폭거이므로 용인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이 이날 추가 제재대상에 올린 5개 단체는 미국 정부가 지난 4월 1일, 한국 정부가 14일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곳이기도 합니다.
기자 한도형, 에디터 오중석, 웹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