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이틀간 350여발 포사격 도발…합참 “9.19 위반 엄중 경고”

0:00 / 0:00

앵커: 북한이 18일과 19일 잇따라 9.19 남북 군사합의를 위반하는 포병 사격을 감행했습니다. 한국의 군 당국은 북한에 즉각 도발을 중단할 것을 엄중하게 경고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18일 늦은 밤과 19일 정오 즈음 모두 350여 발의 포병사격을 감행했습니다. 북한이 이틀간 발사한 포탄은 동해와 서해의 해상완충구역에 떨어졌습니다. 9.19 남북 군사합의 위반입니다.

19일 한국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한국 군 당국은 이날 오후 12시 30분경부터 황해남도 연안군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발사된 100여 발의 포병사격을 관측했습니다.

북한 포탄이 떨어진 지점은 9.19 남북 군사합의에 따라 지정된 서해 북방한계선(NLL) 북방 해상완충구역입니다. 다만 한국 측 영해에서 관측된 낙탄은 없었습니다.

앞서 북한은 18일 오후 10시경에도 황해도 장산곶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100여발, 오후 11시경부터는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150여 발의 포탄을 발사했습니다. 이 포탄들도 동서해의 해상완충구역에 떨어졌습니다.

북한 총참모부는 19일에만 두차례에 걸쳐 대변인 발표를 내놓으면서 이 같은 도발의 원인을 한국 측으로 돌렸습니다.

총참모부 대변인은 한국이 지난 13일과 14일에 이어 18일에도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우리를 자극하는 군사적 도발을 감행했다”고 주장하면서 “다시 중대 경고를 보내기 위해 18일 밤 위협 경고사격을 진행하도록 하였다”고 밝혔습니다.

19일 오후 추가 포병 사격 시기에 맞춰 내놓은 발표를 통해서는 “19일 오전 적들이 10여 발의 방사포탄을 발사하는 군사적 도발을 감행했다”며 “다시 동, 서해상으로 위협 경고사격을 진행할 데 대한 지시를 하달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북한은 완충구역 밖에서 실시되는 한국의 훈련에 맞대응하는 모양새로 군사합의를 위반하는 도발을 감행하고 있지만 이미 지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수차례에 걸쳐 남북 군사합의를 위반해 왔습니다.

지난 2019년 11월에는 창린도 해안포 사격으로 남북 군사합의를 위반한 바 있고 지난 2020년 5월엔 비무장지대 감시초소인 GP에 대한 총격, 지난주엔 동해와 서해의 완충구역 내에 포격을 감행했습니다.

이에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에 남북 군사합의 위반임을 지적하고 즉각 도발을 중단할 것을 경고하는 통신을 수차례 보냈습니다.

합참은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해상 완충구역 내 포병사격은 명백한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은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로 엄중 경고하며 즉각 중단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합참은 지난 14일에도 한국 군이 완충구역 밖에서 실시한 정당한 사격 훈련에 대해 북한이 군사합의를 위반하는 도발로 맞대응하자 엄중한 경고의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강호필 한국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이번 북한의 동서해 완충구역 내에서의 포병사격과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는 각각 9.19 군사합의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으로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심각한 도발행위이다. 우리 군은 북한이 지속적인 도발을 통해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을 초래하고 있는데 대해 엄중하게 경고하며 이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현재 한국의 강원도 철원지역에서는 오는 21일까지 일정으로 다연장로켓(MLRS) 사격 훈련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해당 훈련은 9.19 남북 군사합의를 준수하며 완충구역 이남 지역에서 진행됩니다.

기자 목용재, 에디터 오중석,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