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는 북한 정권의 주민들에 대한 인권 침해는 매우 심각한 우려사안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과 관련해 발표할 내용은 없지만 북한 인권문제에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25일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국무부 북한인권 특사 임명 진행상황이 어떤지, 왜 임명이 지연되고 있는지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북한인권 문제는 북한의 다른 문제들과 함께 미국이 심각히 우려하는 사안이라고 답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북한이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뿐 아니라 대량살상무기, 사이버 프로그램, 북한의 악의적 영향, 러시아와의 협력 심화 등 많은 위협이 된다고 말하면서 인권 문제도 거론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 이뿐 아니라 북한 정권의 북한 주민에 대한 최악의 대우는 우리가 매우 심각하게 우려하는 사안입니다. (Also its abysmal treatment of its own people is something that we're deeply concerned about.)
그는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과 관련해 발표할 내용이 지금 없지만 국무부는 북한 인권문제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 내 동아시아·태평양 관련 부서, 민주주의·인권·노동부서의 여러 사람들이 북한 인권문제에 집중하고 있고 우즈라 제야 국무부 인권 담당 차관도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현재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후보가 있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는 인선 절차를 말할 수 없다면서 다만 북한 인권문제는 국무부가 매우 심각히 우려하는 사안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I'm just not going to speak to the personnel process but the issue is something we're deeply concerned with.)
앞서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지난 9월 서울에서 열린 한 토론회에서 현재 공석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에 알맞은 인물을 가려내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 대표는 당시 인선 절차가 이미 시작됐고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대북정책특별대표인 자신이 빠른 인선을 따로 요청할 필요는 없다며, 다만 정확한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오바마 행정부 시기인 지난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재임한 로버트 킹 특사 이후 5년 이상 공석으로 남아 있습니다.
아울러 프라이스 대변인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조만간 핵실험할 준비를 하고 있는 징후가 있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북한은 언제든지 제7차 핵실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It has been our assessment for some time now that the North Koreans are in a position to conduct a nuclear test, which would be their seventh nuclear test. Really, at any point)
그러면서 북한의 핵실험 준비에 대해 오래전부터 경고해왔다며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치러야 할 비용과 대가(consequence)에 대해서도 경고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우리는 일관되게 북한을 향한 적대적 의도가 없다는 점을 밝혀왔고 여전히 외교가 한반도 비핵화라는 우리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는 최선의 방안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웬디 셔면 국무부 부장관이 일본에서 한국 및 일본 측을 만나 한일에 대한 미국의 방위공약은 철통같다는 메시지를 전했다면서,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을 포함한 북한의 어떤 추가도발에 대해서도 이를 방어하고 억지하기 위해 추가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이상민,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