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 노력"

0:00 / 0:00

앵커 :미국 국무부는 대북정책에서 북한인권을 중시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강조하면서 북한인권특사 임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26일 최근 유엔 총회에 북한인권보고서를 제출한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악의적으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현실을 왜곡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 측은 유엔에서 북한 인권문제가 제기되는 배경에는 미국이 있으며, 미국이야말로 인종차별, 이주민 배척 등 만성적인 인권 유린을 저지르고 있다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의 대미 비난 행태에 대한 26일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북한을 포함해 미국 외교 정책의 중심에 인권을 두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북한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 방식에서 인권을 계속 우선시할 것”이란 기본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국무부 측은 또 “북한과 같은 정권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면서 “북한 정권이 북한의 인도적 상황에 대한 일차적 책임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말한 바와 같이 북한 인권특사 임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발표할 사안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이번 대미 비난과 관련해 로베르타 코언 전 국무부 인권 담당 부차관보는 2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최근 유엔에 제출된 보고서를 통해 광범위한 인권 유린 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다뤄지는 데 대해 북한 당국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코언 전 부차관보: 보고서는 북한을 불안하게 만들었을 것입니다. 북한은 이 보고서가 유엔 회원국들에 전달돼 논의되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습니다.

코언 전 부차관보는 북한 당국이 대북 식량지원과 제재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한 퀸타나 보고관의 주장을 환영하지만 이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이 보고서에서 지적된 자신들의 인권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미국의 인권 문제 비난에 나선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코언 전 부차관보 :북한이 생각해 낼 수 있는 유일한 주장은 미국이 보고서의 배후에 있고, 적대시 정책을 편다는 것입니다. 북한 인권문제 지적은 국제적인 촉구이지, 미국 정부에 의한 것이 아닙니다.

한편 코언 전 부차관보는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과 관련해 국무부 내 상위 직책에 대한 임명이 먼저 마무리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난달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Assistant Secretary Bureau of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가 임명됐고, 아직 국무부 내 민주주의·인권 ·노동 차관보(Assistan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임명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그 이후에나 북한인권특사에 대한 임명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국무부 민주주의·인권 ·노동 차관보는 대행 체재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 9월 미국이 인권 문제를 내세워 주권 국가들의 경제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주장했고, 7월에도 국무부가 '인권과 민주주의 증진'을 외교관들의 우선 과제로 제시한 데 대해 '인권 외교'를 통한 내정 간섭을 노골화 한다고 비난한 바 있습니다.

한편,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26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미국 정부는 북핵 문제 해결 방안으로 외교를 가장 효율적이라고 본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는 내주 북한 관리가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 참석한다는 보도와 관련해 미북 간 회동할 계획이나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에 대해 알고 있지 않고, 현재로서 계획은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나 북한과 외교적으로 관여할 준비가 돼있고, 북한 측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다고 프라이스 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