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불법 송금 막기 위해 국경지역에 검열 그루빠 파견

0:00 / 0:00

앵커 : 북한 당국이 국경지역에 검열 그루빠를 파견하고 불법 전화(중국 휴대전화)를 이용해 외국으로부터 송금을 받거나 한국과 전화연계하는 사람들을 집중 단속하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26일 “국경지역에서 불법 전화를 소지하고 한국과 연계하는 문제, 타 지역 주민들이 국경지역에 들어와 한국에 있는 친인척들이 송금한 돈을 받아가는 행위가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어 중앙에서 검열 그루빠를 파견해 25일부터 단속에 착수하였다”면서 “이번 검열은 검열성원들이 신분을 감추고 암행단속하고 있으며 11월말까지 한달 동안 진행된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이번 검열은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검열 성원들이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고 불시에 은밀하게 진행되는 만큼 시간, 장소에 제한이 없어 국경지역 주민들이 더 긴장하고 있다”면서 “이번 검열에서는 불법 전화로 외부(한국, 중국)와 연계를 시도하는 문제, 타 지역 주민들이 국경지역에 몰래 들어와 한국의 가족과 연계해서 송금을 받는 문제 등 외부세계, 특히 한국과의 불법 연계를 차단하려는 목적에서 진행되는 것 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국경지역에서는 이번 검열이 들어오기 전에도 지방 사법기관 자체에서 불법 전화 소지와 사용에 대한 검열이 여러 번 진행되지만 중국 손전화 전파가 터지는(닿는)지역에서의 불법 전화 사용은 근절되지 않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번 중앙의 집중 검열 소식을 들은 불법 전화 브로커와 전화기 소지자들이 검열을 피해 모두 숨어버려 국경 인근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4~5시간 걸어가서 높은 산에 올라가 2분이내로 어렵게나마 통화를 하던 탈북자 가족들이 이마저도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한국에서 오는 송금이 대부분 (북한의) 화교들을 통해 전달된다는 것을 알고 당국에서 화교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대폭 강화한 데다 한국에서 오는 돈을 전해 주다가 잘못 걸리면 처벌이 두려워 화교들도 송금브로커 일에서 손을 떼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같은 날 “이번에 국경지역에서 진행되는 중앙검열에서는 타 지역 주민들이 국경에 몰래 들어와서 한국과 전화연계를 갖거나 송금된 돈을 받는 행위를 주야에 관계없이 단속하고 있으며 숙박 검열도 수시로 진행하고 있다”면서 “타 지역에서 국경지역에 들어온 대상을 숙박등록하지 않고 불법으로 숙박시키다가 적발되었을 경우 공범자로 보고 똑같이 처벌하게 되어있어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내륙지역에서 국경지역으로 들어가는 길에 세워진 검문소에서는 이번 집중 검열과 관련해 이동하는 주민들의 증명서와 짐을 샅샅이 조사하고 조금만 이상이 있어도 통과시키지 않아 주민들이 지역간 이동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면서 “이 달 중순까지만 해도 검문소에서 문제가 제기되어도 뇌물을 주면 통과시켜 주었지만 초소경비 군인들도 혹시나 행인으로 위장한 중앙검열그루빠 성원이 나타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문제가 제기된 행인은 모조리 단속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코로나사태의 장기화로 먹고 살기 어려워진 탈북자 가족들은 그나마 한국의 가족이 보내주는 돈으로 생계를 꾸려가고 있는데 이번 검열로 송금 받을 길이 막혀 앞으로 살아갈 일이 막막하다고 하소연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기자 이명철, 에디터 오중석,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