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백악관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강력히 규탄하고, 미 본토와 한국·일본 등 동맹국의 안전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에이드리엔 왓슨 대변인은 17일(미국 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은 북한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 시험을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The United States strongly condemns the DPRK for its test of a long-range ballistic missile.)
왓슨 대변인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상황에 대해 보고를 받았으며 그와 그의 국가안보팀은 동맹국들 및 동반자 국가들과 긴밀한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The President has been briefed on the situation and he and his national security team will continue close consultations with Allies and partners.)
그는 동맹국 및 동반자 국가들과 협의와 관련해 "안보 영역에서 한층 더 긴밀한 3자 관계를 구축하기로 결의한 일요일(지난 13일)의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석열 한국 대통령과의 3자 회담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발사는 다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뻔뻔한(brazen) 위반이며, 역내 안보 상황에 불안정을 초래하는 긴장과 위험을 불필요하게 불러 일으키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이 행동은 북한이 국민의 안녕보다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계속 우선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This action demonstrates that the DPRK continues to prioritize its unlawful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over the well-being of its people.)
왓슨 대변인은 "우리는 모든 나라가 이러한 위반 행위를 규탄하도록 촉구하며 북한이 진지한 협상을 위한 협상장에 나올 것을 촉구한다"라며 "외교의 문은 닫히지 않았지만, 북한은 불안정화 행동을 즉각 중단하고 그 대신 외교적 관여를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미국은 미국 본토와 동맹국 한국과 일본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The United States will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ensure the security of the American homeland and Republic of Korea and Japanese allies.)
그는 또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동안 역내 동맹국 및 동반자국가들과 조율하고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주한미군을 관할하는 인도ㆍ태평양사령부 역시 이날 성명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방위에 대한 미국의 약속은 여전히 철통같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18일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홋카이도 서쪽,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안쪽에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전례 없는 빈도로 도발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며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중국은 18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관련해 대화로 각측의 우려를 해결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한국 연합뉴스에 따르면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에 "중국은 현재 한반도 정세의 변화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18일(한국 시간) 오전 10시 15분께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비행거리는 약 1천km, 고도 약 6천100km, 속도 약 마하 22(음속의 22배)로 탐지됐습니다.
기자 이상민,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