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북한에 어떠한 추가 도발 행위도 멈추고 즉각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18일 파르한 하크 부대변인을 통해 낸 성명에서 “북한의 또다른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The Secretary-General strongly condemns the launch of yet another ballistic missile of intercontinental range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북한이 더 이상의 도발적인 행동을 즉각 중단하고, 모든 관련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국제적 의무를 완전히 준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또한 북한에 지속가능한 평화와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한반도의 비핵화로 이어지는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유럽연합(EU) 대변인은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에 낙하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불법적이고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밝혔습니다. (The DPRK’s launch of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oday that landed in Japan’s Exclusive Economic Zone represents is an unlawful and irresponsible action.)
대변인은 북한은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며, 북한의 행동은 지역과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를 더욱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변인은 역내 지속 가능한 평화와 안보를 위한 유일한 길은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의무를 준수하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프랑스 외무부는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보내온 성명에서 일본 배타적경제수역에 떨어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France condemns in the strongest possible terms the November 18th launch of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hat landed in Japan’s Exclusive Economic Zone, according to Japanese authorities.)
프랑스 외무부는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위반하고 미사일 발사를 하는 것은 국제 사회의 강력하고 단합된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프랑스는 북한이 지역 안정과 국제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도발을 감행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에 절대적인 연대를 보장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성명은 프랑스는 북한이 즉각 의무를 준수하고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의 폐기로 이어지는 과정에 참여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임스 클레버리 영국 외무부 장관도 이날 온라인 사회관계망 서비스 트위터를 통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했습니다.
클레버리 장관은 북한의 계속되는 긴장 고조 행위가 지속되어서는 안된다며, 오직 대화와 북한의 핵 프로그램 포기를 통해서만 역내 안보가 보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한국과 미국, 일본, 캐나다 등 6개국 정상급 인사들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긴급 회동을 갖고 한목소리로 규탄했습니다.
영국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 또한 북한의 계속된 무책임한 행동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오스트랄리아) 총리는 특히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대해 “오늘 아침의 미사일 하나가 아니다”며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를 다루기 위해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를 소집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 4일 북한의 최근 전례없는 고강도 미사일 도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 공개회의가 열렸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또 다시 반대함에 따라 추가 대북제재 결의에는 실패했습니다.
기자 자민 앤더슨,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