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지도부, 중국 코로나 관련 시위 주시할 것”

0:00 / 0:00

앵커 :북한의 보건체계를 연구한 미국의 한 전문가는 코로나 감염증과 관련해, 중국의 대규모 시위 사태가 북한의 코로나 대응 정책에 변화를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공중보건대 길버트 번햄 교수는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전화통화에서 코로나 감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북한의 봉쇄 정책은 결국 실패(break down)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북한 주민들의 코로나에 대한 면역력은 여전히 낮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지난 9월 북한이 코로나 19 백신(왁찐) 접종을 시작했다고는 하지만 명확히 보고된 바가 없으며, 북한은 아직까지도 국제 백신 공급 프로젝트인 ‘코백스’의 백신 지원 요청을 거절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번햄 교수는 이어 현재 중국은 지나친 봉쇄와 격리로 인한 반발로 곳곳에서 시위가 벌어지는 등 사회 불안정을 겪고 있다며, 북한도 코로나로 인한 봉쇄와 격리가 장기화 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번햄 교수 : 북한도 코로나로 인한 봉쇄와 격리 상황은 중국과 비슷합니다. 북한의 백신 접종률이 낮은 것을 고려하면 오히려 중국보다 훨씬 나쁩니다. 북한 지도자들은 (중국의 시위가) 어떤 식으로 결말이 날지, 중국의 현 상황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을 겁니다. 어쩌면 이번 사태가 북한(의 코로나 정책에도) 국면 전환의 계기(game changer)가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북한은 국경을 개방했을 때 벌어질 코로나 감염 사태를 걱정하면서 가능한 모든 예방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중국의 현 사태를 비추어보면, 북한의 봉쇄 정책도 결국은 실패할 것이란 설명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코로나를 통제하기 위해 언젠가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NK뉴스’에 따르면 지난 5월, 북한 사회안전성은 코로나와 북한의 방역 정책에 대한 소문을 퍼뜨리는 사람들을 사형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하는 포고문을 게시했습니다.

포고문은 “일부 주민들은 당과 정부의 방역정책들을 제 나름대로 해석하면서 유언비어를 퍼뜨려 민심을 흐려놓고 사회의 정치적 안정을 파괴하고 있다”며 “이 포고를 어긴 행위가 특히 엄중한 자는 사형에 이르기까지 엄벌에 처하며 동거가족은 이주, 추방시킨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번햄 교수는 정부가 코로나에 관해 거짓 정보, 왜곡된 정보만을 제공하면 주민들 사이에서는 자연스럽게 다양한 이야기들이 오갈 수 밖에 없다며, 북한이 실제로 소문 유포자에게 처벌을 강행했는 지는 모르지만 어느정도 소문을 억제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자유연합의 수잔 숄티 대표는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은 국내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통제하고 싶어한다고 밝혔습니다.

숄티 대표는 북한 정권은 주민들에게 북한은 코로나 사태에 성공적으로 대처한 첫번째 국가라고 선전하며, 코로나 감염을 막기 위해서 외부 세계와의 교류를 차단하고 모든 국경을 봉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알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마 주민들 사이에서는 자유아시아방송(RFA), 미국의 소리 방송과 같은 대북 방송 등을 통해 얻는 외부 정보를 비롯해 이웃 사람들, 친척들이 코로나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나눴을 것이고 북한은 이를 막으려고 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숄티 대표 : 북한 정권은 주민들에게 코로나에 대한 진실을 알리고 치료와 예방을 위한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는 대신, 정권 유지와 선전을 위해 주민들을 협박하기를 선택했습니다. 이 포고문은 김씨 정권은 절대로 북한 주민들을 위한 결정은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숄티 대표는 이어 이러한 협박성 포고문은 북한 정권이 주민들의 생각과 이야기, 그리고 정보 접근을 통제하고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시키기 위한 목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자민 앤더슨,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