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부의 관심은 현재 북한과의 핵협상 보다 대북 사이버 대응에 쏠려 북한의 사이버 범죄에 대응할 인력 충원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은 올 한해동안 탄도미사일 60여발을 발사해 역대급 도발을 감행했습니다.
이를 위해 수 억만 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북한 정권은 국제사회가 가한 대북제재를 피해 가상화폐 탈취 등 사이버 범죄를 통해 핵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 자금을 마련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국 행정부는 현재 북한의 불법적인 행동을 옥죄기 위해 각 부처에서 전방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일각에서는 해당 인력이 수십명에 달하고, 한국계 미국인 정보통신(IT) 전문가들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워싱턴 소식에 정통한 한 대북전문가는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북한은 해킹을 통해 핵미사일 개발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라며“미국 정부의 관심은 현재 북한과의 핵 협상 보다는 대북 사이버 대응에 쏠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최근 미국 정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자금 조달을 차단하기 위해 인력을 충원하고, 확보하고 있다”라며“북한 관련한 사이버 전문가 규모만 해도 꽤 상당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워싱턴DC에 있는 미 민주주의수호재단(Foundation for Defense of Democracies, FDD)의 애니 픽슬러(Annie Fixler) 사이버 및 기술혁신 센터장(Center on Cyber and Technology Innovation)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국 정부의 정확한 인력 수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지만, 미국 정부는 분명히 북한을 포함한 국가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사이버 인력을 확대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현재 연방의회에서 재무부 등의 사이버 대응에 예산을 놀리는 세출법안을 협상하고 있다"라며 북한 관련을 포함한 사이버 대응 인력이 더 늘어날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미 민간연구단체 스팀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Martyn Williams) 연구원은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이와 관련해 미국 행정부의“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분야”라고 답했습니다.
윌리엄스 연구원 :나는 그들이 정확히 몇 명인지 모르기 때문에 앞으로도 늘려야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 분야는 미국 정부가 집중해야 하는 영역이고, 분명히 (북한의 사이버 위협은) 계속해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적당한 수의 사람들이 있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I don't know how many people they have. So I don't know they should increase it not. But it is an area they should focus on or should concentrates on and it is definitely the area that I think it continue to be a threat. So it is always good to have decent number of people doing that.)
자유아시아방송(RFA)은 관련 부처에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인력 확충에 대해 문의했지만, 국토안보부(DHS) 산하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만이“북한 정권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히든 코브라(HIDDEN COBRA)’라고 정하고 인프라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미 법무부 산하 연방수사국(FBI)은 이와 관련 대답을 거절했고 국무부, 국방부, 재무부 등은 19일 오전 현재까지 대답이 없는 상황입니다. 해당 분야가 보안에 민감한 만큼 자세한 규모가 노출되지 않기 위해 이를 밝히지 않으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국무부는 올해 4월 북한 등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공간·디지털정책국을 창설하고, 국장으로 나다니엘 픽(Nathaniel Fick) 사이버공간·디지털정책 담당 특임대사를 임명했습니다.
지난 15일에는 워싱턴D.C.에서 픽 대사와 조현우 한국 외교부 국제안보대사가 수석대표로 참석한 제 6차 한미사이버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북한의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FBI도 각국과의 정보 공유, 공동 사이버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에 있는 미국 대사관에서 사이버 법적 보조 프로그램(Cyber Assistant Legal Attaches)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북한과 같은 불법적인 사이버 행위자들에 책임을 묻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자 박재우, 에디터 이상민,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