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로 국제적십자 신종독감 비상조치 차질

0:00 / 0:00

앵커 : 국제적십자사가 북한에서 신종독감의 확산을 막기 위해 비상조치계획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제재 조치로 인해 신종독감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제적십자사는 8일 발표한 ‘북한 A형 인플루엔자 발병 비상조치계획’(Influenza A Outbreak-Emergency Plan of Action)에서 “유감스럽게도 제재 조치로 인해 북한 주민들이 계절성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받을 수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Unfortunately, due to the imposition of sanctions the population in DPRK has not been able to benefit from vaccination against seasonal influenza.)

특히 국제적십자사는 “항바이러스제, 신속한 검사 키트 및 개인보호장비(PPE), 손소독제 등의 심각한 부족으로 인해 현재 신종독감 발병에 대한 대응이 복잡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Additionally, the response to the current outbreak has been complicated due to the severe shortage of antiviral medicine, rapid testing kit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and hand sanitizer.)

이어 A형(H1N1) 신종독감의 급속한 확산을 막기 위해 실시할 비상조치계획에 스위스 약 30만 프랑(303,779), 미화 약 32만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비상조치계획에 따르면 조선적십자회(DPRK RCS)가 우선순위 지역으로 선정한 함경남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등 3개 지역에 역량이 집중됩니다.

또 이 3개 지역에 있는 500곳의 보건 기관과 300곳의 학교에 비식량품목(non-food items)이 조달되고 신종독감 예방과 감시 업무가 진행됩니다.

또 이번 계획은 올해 6월7일까지 4개월간 지속될 예정이며 북한 주민 37만3천명이 직접 수혜를 입게 되고 250만명이 간접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울러 이번 계획은 북한 보건성과 세계보건기구(WHO), 유엔아동기금 (UNICEF)이 협력하게 되며 조선적십자회가 자원봉사자 800여명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특히 보고서는 북한 보건성이 세계보건기구에 신종독감 치료제인 타미플루(Oseltamivir) 3만정을 요청했지만, 세계보건기구가 1월 마지막 주나 2월 첫째 주에 타미플루 6천500정을 북한에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이번 비상조치계획의 목표는A형 인플루엔자 발발로 인한 질병과 사망(morbidity and mortality)을 줄이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16일까지 신종독감 의심 사례가 지역별로 살펴보면, 평양 3만6천여명, 평안남도 1만여명, 평안북도 9천여명 순으로 많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16일까지 신종독감 의심 사례가 지역별로 살펴보면, 평양 3만6천여명, 평안남도 1만여명, 평안북도 9천여명 순으로 많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지난해 12월1일부터 1월 23일까지 신종독감 의심 사례17만8천여(178,259)명이 있었으며, 이 중 11만여(110,015)명이 A형 H1N1 신종독감에 감염으로 확진됐습니다.

이어 보고서는 “검사 장비가 부족해 신종독감이 걸린 양성인 경우가 실제 수치보다 더 높을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했습니다.

특히 보고서는 평양과, 남포, 나선 등 주요 도시에서 신종독감 의심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16일까지 신종독감 의심 사례는 지역별로 평양 3만6천여명(28.7%), 평안남도 1만여명, 평안북도 9천여명 순으로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