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주민, 국가 건설 노력 동원에 반발

0:00 / 0:00

앵커 : 북한당국이 각종 건설사업을 진행하면서 노력 동원과 함께 지원물자 조달을 모두 주민들에게 떠넘기는데 대해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계속되는 세(기부금)부담과 강제 노력 동원으로 주민들은 당국을 원망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남도의 한 소식통은 16일 “얼마전 평안남도 평성시 경기장과 두무동사이에 새 포장도로가 건설되었는데 이 공사는 지난 7월에 시작되었다”면서 “3개월 남짓 동안 상당히 빠른 시일 내에 건설된 이 도로는 원자재부터 건설노동까지 지역주민들의 세부담과 강제노역으로 완공된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원래 도로공사는 국토건설부가 계획하고 도로건설사업소에서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번 공사는 평양시와 인접한 평성시를 문화 도시로 꾸리라는 중앙의 지시에 따라 서둘러 진행 되었다”면서 “평안남도 도당이 이번 공사를 직접 주관했는데 주민들을 하루 4시간씩 동원 해 무보수 강제노동에 밀어 넣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도로공사에 필요한 자갈을 비롯한 모든 자재도 주민 세대당 과제로 할당해 공사장에 바치도록 부과했다”면서 “도로의 로반공사를 맡은 주민들은 세수소랭이(대야)에 흙과 자갈을 담아 나르는 등 모든 일을 인력으로 해결하느라 일부 쇠약한 주민들은 폭염에 일사병으로 쓰러지기도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남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평성경기장은 1990년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김정일경기장’ 명칭으로 건설계획을 세웠지만 자금난으로 건설이 중단되었고 2000년대 중반이 넘어서야 개인 돈주들이 기부한 돈으로 완공되어 ‘평성경기장’으로 명명되었다”면서 “지금까지 경기장에서 각종 행사와 경기가 진행되고 있지만 내부 마감공사는 미흡한 상태로 남아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올해 남한 등 외부와의 체육교류사업이 활발해지면서 평성경기장도 내부 공사는 물론 경기장을 잇는 포장도로까지 건설되는 등 제 모습을 갖췄다”면서 “주민들은 도로공사를 하느라 강제노역을 시키는 것도 모자라 건설자재를 주민부담으로 떠넘기는 행태에 분노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도로공사를 마친 요즘에는 도로 주변 미화작업을 한다면서 잔디심기가 진행되고 있는데 여기에 필요한 잔디까지도 인민 반 세대별로 부담시켜 요즘 평성시 주민들은 산에서 잔디를 떠오느라 큰 고생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