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귀국하는 해외주재원에도 귀국과제 부여

0:00 / 0:00

앵커 : 북한당국이 해외의 무역주재원들을 귀국조치하면서까지 귀국과제라는 것을 부과해 주재원들을 괴롭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당국은 해외에 주재하던 무역주재원 중 실적 부진 등을 이유로 본국으로 소환조치 하면서도 ‘귀국과제’라는 것을 부여해 주재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무역 주재원들과 교류가 많은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본국으로 소환명령을 받은 조선 무역대표들을 만날 때마다 그들이 고민하는 모습을 보면 조선당국에 대한 욕이 절로 나온다”면서 “귀국을 앞둔 주재원들까지도 과다한 귀국과제로 괴롭히는 정권이 이 세상에 또 어디 있겠느냐”고 비난했습니다.

소식통은 “귀국 명령을 받은 주재원들이 무엇보다 고민하는 것은 귀국조치 자체가 아니라 본국으로부터 부여 받은 ‘귀국과제’라는 것 때문”이라면서 “갑자기 소환을 당하는 것도 억울한데 별도로 과다한 과제까지 부여 받았으니 그들의 심정이 오죽하겠느냐”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소환명령을 받은 무역대표들이 부여 받은 귀국과제는 회사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거의 비슷하다”면서 “충성의 자금 과제와 ‘융성과제’ 등 두 가지를 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충성의 자금은 말 그대로 현금을 마련해서 국가에 바치는 것으로 액수를 특정하지는 않고 성의껏 알아서 내라고 하는데 이게 오히려 무역대표들에게는 엄청난 부담을 주는 것”이라고 소식통은 지적했습니다.

액수가 적으면 충성심을 의심 받을 뿐 아니라 인사상의 불이익을 받는 등 귀국 후에도 찬밥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소위 ‘융성과제’라는 것은 국가에 도움이 될만한 것은 현금 이외의 모든 것을 통칭하는 말인데 예를 들면 ‘기술정보’ 라든가 북한에 심으면 좋을 각종 ‘종자’를 포함해 모든 산업정보를 통틀어 하는 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또 다른 대북소식통은 “주재원들의 본국 소환 명령은 대개 한 달 가량 여유를 두고 본인에게 통보해준다”면서 “이는 귀국을 위한 주변정리와 귀국 과제를 마련할 시간을 준다는 의미”라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귀국명령을 받은 주재원과 그 가족은 명령을 받은 즉시 보위성원들의 집중 감시와 통제를 받게 된다”며 “이는 혹시라도 귀국하지 않고 탈북을 감행할 가능성을 사전에 막기 위한 것이고 이때부터 주재원들은 주변의 지인들과 개인적으로 만나서 작별 인사도 나눌 수가 없게 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