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계신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RFA뉴스초점입니다. 진행에 홍알벗입니다.
남북 간의 협의 창구인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25일 사흘 만에 부분적으로 복원됐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이날 환영의 입장을 표하면서 남북연락사무소가 앞으로도 본연의 기능을 계속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남북연락사무소 북한 측 인원 일부는 이날 오전 8시 10분쯤 사무소에 복귀해 근무했습니다.
남북연락사무소에 복귀한 북한 측 인원은 연락대표 등 4~5명입니다. 평소 남북연락사무소에서 근무했던 인원의 절반 가량만 복귀한 셈입니다.
북한의 일부 인원이 남북연락사무소에 복귀하면서 남북 간의 현안 논의가 조만간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백태현 한국 통일부 대변인입니다.
백태현 대변인: 화상상봉과 관련해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면제 절차가 완료된 후 교류협력추진협의회의 의결도 이뤄졌습니다. 화상상봉장에 대한 개보수, 물자 구매 등 관련 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이런 것들이 마무리되면 북한과 협의해 나갈 계획입니다.
북한은 지난 22일 오전, 남북 연락대표간 접촉을 통해 상부의 지시에 따라 철수한다는 입장을 한국에 통보한 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전격 철수했습니다.
-----------------
일본 교도통신은 25일,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중국 베이징을 방문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교도통신은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비건 대표가 전날인 24일부터 베이징을 방문하고 있다면서 쿵쉬안유 중국 외교부 부부장 겸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면담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비건 대표가 쿵쉬안유 부부장과 하노이회담 결렬에 따른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국 국무부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비건 대표가 베이징을 방문 중이라고 확인해 줬습니다.
하지만 그의 방중 일정 등 구체적 사안에 대해서는 공유할 내용이 없다고 전했습니다.
비건 대표의 방중 소식에 대해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같은 날 기자설명회에서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 관련국가들과 긴밀한 소통과 접촉을 계속해왔다"면서 미국과의 중요한 교류가 있다면 적절한 시기에 관련 소식을 발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측근인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6박 7일간의 러시아 방문 일정을 마치고 25일 귀국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비서실장 격인 김 부장의 러시아 방문은 김 위원장의 방러가 임박했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
인권소식입니다. 유엔 인권이사회(UNHRC)가 17년 연속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한 가운데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인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은 25일 성명을 내고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또 한국에서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지 3년이 지났지만 한국 정부가 북한인권재단 구성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며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김태훈 변호사모임 대표입니다.
김태훈 대표: 한국 정부는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지 3년이 넘도록 북한인권재단을 구성하지 않고 북한인권대사도 임명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재단은 2016년 9월 발효된 북한인권법 시행을 위한 핵심기구로 북한의 인권 실태 조사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었지만 이사진 구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아직까지 출범하지 못했습니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미국과 캐나다에 본부를 둔 국제구호단체의 대북 인도지원사업 물자 반입을 승인했습니다.
24일 대북제재위에 따르면 기독교 계열 구호단체인 '메노나이트 중앙위원회'(MCC)가 제출한 식수 필터와 위생용품 키트 등 10가지 종류의 대북 물품 반입 계획이 제재 면제사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로써 대북제재위 홈페이지에 공개된 인도적 사업 관련 제재 면제 승인 건수는 총 21건이 됐습니다.
RFA 뉴스초점, 오늘 순서는 여기까지입니다. 지금까지 홍알벗이었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