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 관련 주요 뉴스를 자세히 살펴보고 짚어보는 RFA 뉴스초점입니다. 진행에 홍알벗입니다.
미북 정상회담이 전격 취소됐습니다. 당초 다음 달 12일 싱가포르에서 갖기로 했던 미국과 북한 양국 정상 간의 만남은 무산됐습니다. 미국 백악관은 24일 오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을 공개했습니다. 미국 CNN에서 소개한 트럼프 대통령의 편지 내용입니다.
CNN방송내용: 최근 당신들의 발언에 나타난 극도의 분노와 공개적 적대감으로 인해 애석하게도 오랫동안 준비했던 회담을 지금 시점에서 한다는 건 부적절하다고 느낍니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회담을 위해 오랫동안 보여준 인내와 노력에 감사를 표한 뒤, 싱가포르 회담은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북한의 핵 능력에 관해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미국의 것이 더 거대하고 막강하기 때문에 그것이 절대 사용되지 않기를 신에게 기도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은 영속적인 평화와 큰 번영, 그리고 부유함을 위한 위대한 기회를 잃었으며, 이 잃어버린 기회는 진실로 역사상 슬픈 순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 가장 중요한 회담과 관련해 김 위원장이 마음을 바꾸게 된다면 주저 말고 전화나 편지를 달라"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하게끔 만든 원인은 뭘까요. 언론에 서한 내용이 공개된 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구체적으로 발언 당사자와 내용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24일 북한 외무성 최선희 부상이 발표한 담화 내용을 가리키는 발언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최근에 있었던 북한의 입장 발표에 근거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갖기로 했던 미북 정상회담 계획을 접기로(terminate) 했습니다.
최 부상은 담화에서 펜스 부통령을 '정치적으로 아둔한 얼뜨기'라고 비난하고 북미 정상회담 재검토를 언급했습니다.
이번 미북 정상회담 취소 소식에 한국 청와대는 당혹스러운 표정입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한국시간으로 24일 밤 11시30분에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고 상임위원을 청와대 관저로 긴급 소집했습니다. 회의를 마친 후 문 대통령은 "당혹스럽고 매우 유감"이라면서도 미북 "정상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는 포기할 수도, 미룰 수도 없는 역사적 과제"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온 당사자들의 진심은 변하지 않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같은 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군축회의'에서 "미국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의 싱가포르 회담이 취소됐다는 데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평화적이고 검증 가능한 한반도 비핵화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관련 당사국들이 대화를 이어갈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CNN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서한 원문을 홈페이지에 올린 뒤 "지난 수개월 동안 진행돼온 미북 간의 진전된 외교의 종말이며 긴장 완화의 위기를 맞았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일본 언론도 6·12 북미 정상회담 취소 소식을 신속하게 전달했습니다. 일본 교도통신과 요미우리 등은 이날 밤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을 지금 개최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면서 중지를 통고했다는 내용을 속보로 전하면서 그 이유로 "북한이 보인 적대감"을 들었다는 점을 소개했습니다. 러시아의 콘스탄틴 코사체프 상원 국제문제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북미 정상회담 취소는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심각한 타격이며, 이란과의 핵합의 탈퇴에 이은 지구촌 안보에 대한 두 번째 타격"이라고 비판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은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뒤에 나온 근거 없는 조치"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추후의 미북 정상회담의 가능성은 열어 두면서도, 지금까지 계속되어 온 강력한 대북제재와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 정책'은 계속될 거라며 북한의 핵무기 포기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북한은 비핵화 과정을 따르고 국제사회에 들어감으로써 가난과 압박에서 벗어날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그 자신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들을 위해 올바른 선택을 하길 바랍니다. 남북한 국민들은 모두가 조화롭게 번영 속에서 평화롭게 함께 살 자격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밝은 미래는 북한에서 핵무기가 없어질 때 가능합니다.
RFA 뉴스초점, 지금까지 홍알벗이었습니다. 저는 다음 시간에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